경제·금융 금융정책

[최순실 트라우마에 빠진 국민연금] 금융당국 "소액 사채권까지 전수 접촉하라" 컨틴전시 플랜 마련

대우조선 채무조정

국민연금 반대 대비

개인투자자 찬성 유도

실현 가능성은 미지수

채권단과 금융 당국이 대우조선해양 사채권자집회에서 국민연금이 반대하는 최악의 상황을 감안해 소액 사채권자를 맨투맨 접촉해 설득하는 컨틴전시(비상) 플랜까지 마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음달 17~18일 이틀간 열리는 사채권자집회에서 대우조선 추가 지원에 대한 결정적 캐스팅보트를 쥐고 있는 국민연금이 반대하더라도 나머지 소액 사채권자를 전부 접촉해 찬성을 이끌어내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국민연금이 반대하면 나머지 소액 채권자들도 반대로 돌아설 가능성이 높아 실현 가능성은 미지수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 당국과 채권단은 국민연금의 반대를 대비해 국민연금을 제외한 나머지 소액 사채권자까지 전수로 접촉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다음달로 예정된 사채권자집회 5회차 중 한 회차라도 부결되면 회생형 법정관리인 P플랜(사전회생계획제도)으로 가는 만큼 비상플랜이라도 마련해 최악의 시나리오를 막아보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금융 당국과 채권단, 대우조선 등은 소액 사채권자에 대한 전수조사와 접촉 계획을 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개인은 기관투자가와 달리 단기 투기성 성격이 강해 설득은 물론 접촉 자체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 때문에 소액 투자자들은 ‘유령’으로 통한다.


채권단의 한 관계자는 통화에서 “대우조선이 P플랜에 들어가는 최악의 상황을 피하기 위해 어렵지만 개인투자자들과의 접촉 루트를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국민연금은 채권자집회 1회차 때 대우조선 만기 회사채 4,400억원 중 1,900억원(43%)을 보유하고 있다. 4회차 때는 만기 회사채 3,500억원 중 1,100억원(31%)을 갖고 있다. 두 회차에서 국민연금이 찬성표를 던지면 ‘채권금액의 3분의1 참여, 참석자의 3분의2 찬성’이라는 가결요건을 채울 수 있다. 그러나 국민연금에서 출자전환 등에 부정적인 기류가 강해 결과를 쉽게 예측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당국과 채권단은 국민연금이 끝까지 반대할 경우 나머지 사채권자를 전수 접촉하는 방식으로라도 찬성을 유도해 대우조선을 P플랜으로 보내지 않고 정상화하는 방안을 찾겠다는 것이다. 채권단 관계자는 “가장 최우선적인 방법은 국민연금을 막판까지 최대한 설득해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회사채 개인투자자들을 접촉해 찬성을 유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국민연금이 반대표를 던지면 개인투자자들이 한꺼번에 동조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한편 삼정KPMG는 대우조선 사채권자 부결 시 채권 회수율을 6.7%, 가결 시 50%로 전망했다. 사채권자집회가 통과하면 투자액의 절반은 건질 수 있지만 부결 시 90% 이상을 날릴 수 있다는 설명이다.

김보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