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소비심리 회복 쉽지 않네 … 3월 성수기에도 백화점·마트 매출 제자리

신학기·화이트데이 등 겹쳐

2월보다 하락세 둔화 됐지만

성장률 0.5~2%대 기대 이하

유통가 대대적 할인전 돌입

4월 비수기 고객유치 안간힘





1·2월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마트와 백화점 매출이 3월에도 좀처럼 반등하지 못하고 있다. 2월 보다는 다소 나아지고 있지만 통상 3월이 신학기와 화이트데이가 있어 유통가가 활기를 띠는 시기라는 점을 고려해 보면 썩 좋지 않은 성적이다. 이런 가운데 4월 역시 전통적인 유통가 비수기라 업계에서는 역대 최대 규모의 봄 할인 행사를 열어 고객 유치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1~2월 -5.4%의 성장률을 기록한 롯데마트는 3월에도 -2%로 매출이 역신장했다. 롯데마트는 설 명절이 있는 1월 매출이 10.1% 늘어났지만 2월에는 설 명절이 앞당겨진 효과로 -20.4%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마트는 명절이 있었던 1월에는 20%의 높은 성장을 했지만 2월에는 -11% 성장했다. 신학기 및 청소용품 판매 증가 등으로 3월 매출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보이나 성장 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마트보다는 좀 낫지만 백화점도 상황이 크게 다르지는 않다.

롯데백화점은 3월 0.5% 성장률을 기록하는데 그쳤다. 1~2월 신장률도 -1.2%로 저조했다. 현대백화점은 1월 1.6%와 2월 -3.2%를 각각 기록했으며 3월 신장률은 약 2%대로 예상된다. 1월 15%, 2월 9.6%라는 높은 매출 증가율을 보였던 신세계백화점도 3월은 지난해와 비슷한 매출을 내는데 그칠 것이라는 예측이 우세하다.

유통업계는 ‘역대급’ 물량과 할인률을 내세워 소비 심리의 불씨를 되살리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30일부터 백화점과 할인점 등이 대대적인 봄 세일에 들어갔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그나마 내수를 받쳐주던 중국인 관광객들까지 줄면서 매출이 좀처럼 오르지 못하는 것 같다”며 “5월도 중국 노동절 연휴가 있지만 금한령이 풀리지 않으면 관광객 매출을 기대하기는 어려워 가정의 달을 맞이해 선물을 구매하는 내국인들과 황금 연휴 기간 국내 여행족의 소비가 늘기를 기대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박윤선·이지윤기자 sepys@sedaily.com

박윤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