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19대 대선, 다시 국가개조다] 창업정책 '청년·숙련 투트랙'으로 가야

숙련 창업자가 생존율 높아

정책 패러다임 대전환 필요

한 업종에서 오랜 시간 근무해 업무 노하우를 쌓은 숙련 창업자일수록 비숙련 창업자에 비해 생존율과 수익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정부의 창업지원을 청년창업뿐 아니라 40대 이상 숙련창업으로 확대해 ‘청년·숙련창업 투트랙’으로 전환하는 정책 패러다임의 대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국은 고령화 속도가 빠르고 경기침체와 기업 구조조정으로 40~50대의 실직이 급증하고 있어 산업계 경험이 풍부한 중장년층을 기술창업으로 유도하는 숙련창업 드라이브가 시급한 상황이다. 현재 고용시장에서 퇴출된 중장년층은 치킨집으로 상징되는 자영업으로 몰렸다가 공급과잉으로 줄줄이 폐업한 뒤 빈곤층으로 전락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30일 IBK경제연구소가 창업기업 대표자 2,449명을 대상으로 생존율과 영업성과를 분석한 결과 해당 업종 경력 15년 이상 숙련 창업기업의 4년 후 생존율은 85.4%로 5년 이하 비숙련 창업기업의 77.1%보다 8.3%포인트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또 15년 이상 동종업종에서 일했던 창업자의 경우 기업의 매출액 증가율과 영업이익률(창업 3년 후)이 각각 5.1%, 6.2%로 5년 이하 창업기업보다 각각 2.1%포인트, 0.8%포인트 높았다. 연령대별로 매출증감 및 자산성장률 등의 창업성과가 통계로 확인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와 함께 창업 실패 후 정부 지원을 받아 재도전에 나선 기업들의 생존율과 경영성과 역시 첫 창업기업 대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경험이 많을수록 경영성과가 더 좋은 셈이다.

관련기사



이에 반해 우리나라 창업정책은 지금까지 청년창업 활성화에 치중해 지난해 청년창업 전용예산은 492억원인 데 비해 시니어 전용예산은 49억원에 불과한 실정이다. 또 청년창업은 5,000억원의 전용정책예산이 별도로 배정된 반면 시니어 전용 정책예산은 전무하다.

서경란 IBK경제연구소 중소기업팀장은 “일자리 창출과 성장률 제고를 위해서는 청년창업보다 숙련창업 유도가 더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라며 “창업정책 방향을 기존 청년·시니어 등 연령기준에서 현장경험과 전문성을 우위에 두는 창업정책의 패러다임 시프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해욱·강광우기자 spooky@sedaily.com

박해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