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종목·투자전략

[여의도메신저] 사측이 노조집행부 구성 원해...상황 뒤바뀐 금투협

공공기관 성과연봉제 확대따라

임금체계 개편 불가피하지만

협상대상 노조집행부 2년째 공석

노동조합을 반길 리 없는 사측 임원들이 오히려 노동조합 집행부 구성을 원하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 ‘신의 직장’으로 불리는 금융투자협회의 이야기다. 공공기관 성과연봉제 확대에 따라 큰 틀의 임금체계 개편이 불가피하지만 정작 협상의 대상자인 노조 집행부가 2년째 구성조차 되지 않기 때문이다.

현재 금투협 직원 200여명 중 2년 내 임금피크제가 적용되는 직원이 20여명에 달해 기존 임금피크제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사측 중심으로 임금체계를 개편하면 반발 여론이 발생할 수 있어 직원들과 사전 합의가 반드시 필요한데, 노조 집행부가 꾸려지지 않다 보니 사측은 난처한 입장이다.


과거 금투협 노조는 업계 상징성을 지닌 노조라는 특성이 있어 책임감도 높았다. 업권 간 또는 개별 증권사 간 이해관계가 첨예할 때 증권업 전체 종사자들의 권익을 대변하는 역할을 맡았기 때문이다. 지금처럼 은행업계와 신탁업 문제로 신경전을 벌이고 있을 때는 과거의 경우 협회 노조 차원의 목소리를 내고 증권업 발전에 힘을 보탰을 것이라는 아쉬움도 크다. 2011년 자기자본 3조원의 초대형투자은행(IB) 도입안이 나왔을 당시 중소형사들이 반발할 때도 협회 노조는 “증권업 전체의 이익을 생각해야 할 때”라며 개별 증권사 노조를 설득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현재 금투협 노조는 존립 자체가 불분명한 상황이다. 지난 2015년 당시 불법주식거래 혐의로 당시 노조위원장과 집행부가 사퇴한 이후 그해 7월 두 차례의 노조위원장 입후보 공고에 아무도 응하지 않았다. 지난해엔 지원자가 없어 공고조차 하지 못했다. 노조 활동을 1년 이상 하지 않을 경우 노동조합법에 따라 노조가 해산될 수 있어 사실상 정리 수순을 밟게 될 것이라는 게 금투협 안팎의 평가다. 산적한 개혁과제를 안고 있는 금투협은 태스크포스(TF)팀을 꾸려 노조의 빈자리를 메꾸려고 노력 중이다. 올해 임단협은 지난 2월 직원총회를 열어 개개인의 동의를 받는 형식을 빌려 임금협상안을 통과시켰다. 노조 집행부 없이도 임금체계 개편안이 통과될 가능성이 높아진 셈이다.

과거 노조 활동을 했던 관계자는 “좋은 집안, 좋은 학교 출신의 인재들이 ‘신의 직장’에 다니면서 노조에는 관심 자체가 없다”며 “세상의 변화를 실감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금투협 직원들은 집행부도 없는 노조에 회비만 꼬박꼬박 내고 있는 셈이다.

/송종호·유주희기자 joist1894@sedaily.com

송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