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당귀, 작약 등 생약재로 만든 항암치료보조제 임상시험 통과할까

MH-30   시제품./사진=한국원자력연구원MH-30 시제품./사진=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 생명공학연구부 조성기 박사팀은 지난 2012년부터 4년 간의 연구 끝에 생약복합조성물 ‘MH-30’을 개발, 식약처로부터 항암치료보조 의약품 임상시험계획을 승인받았다고 3일 발표했다.


MH-30은 당귀, 천궁, 작약 등 한국 고유의 생약재 3종을 혼합 제조한 생약복합조성물로, 생명공학-방사선 융합기술을 이용해 각 생약재의 우수한 성분을 밝혀 강화시킨 새로운 조성물이다. 연구원은 MH-30의 항암치료보조 효능을 검증하는 임상시험을 통해 의약품 품목허가를 추진할 수 있게 됐다. 연구원은 암세포를 이식한 생쥐를 이용, MH-30의 효능과 안전성을 입증한 바 있다. 지난해에는 MH-30에 대한 국내 특허를 등록한 데 이어 해외 특허 출원 및 등록 절차도 진행하고 있다.

관련기사



조성기 박사팀은 지난 2006년 생약복합조성물 ‘헤모힘(HemoHIM)’을 식약처로부터 면역기능개선 건강기능식품 원료로 인정받아 제1호 연구소기업 콜마비앤에이치(주)를 통해 상품화한 바 있다. 콜마비앤에치(주)는 2015년 코스닥 상장됐다.

조성기 박사는 “자궁암환자의 방사선 및 항암제 치료시 항암치료보조 의약품 품목허가를 위한 임상시험을 진행할 계획”이라며 “추가 시험을 통해 MH-30을 여러 가지 암에 대한 항암치료보조제로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추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정우희(왼쪽) 책임연구원과 조성기 책임연구원이 함암치료 보조제인 MH-30 개발 아이디어를 의논하고 있다./사진=한국원자력연구원정우희(왼쪽) 책임연구원과 조성기 책임연구원이 함암치료 보조제인 MH-30 개발 아이디어를 의논하고 있다./사진=한국원자력연구원


문병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