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해외칼럼] 트럼프는 중국에 최상의 선물

파리드 자카리아 워싱턴포스트 칼럼니스트·CNN 'GPS' 호스트

中 '환율조작국' 순순히 동의땐

위안화·中상품가치 하락 효과

무역부문 美 지도력 공백 활용

글로벌 리더 도약 기대 부풀어

자카리아자카리아


중국만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집중적 공격을 받은 나라도 없을 것이다. 그는 중국이 미국을 ‘유린’하고 무역 부문에서 미국의 ‘숨통’을 조이고 있으며 중국 제품의 가격을 낮추기 위해 통화가치를 억누르고 있다고 불호령을 내렸다.

이 때문에 최근 베이징을 방문했을 당시 중국 엘리트들이 트럼프에 대해 비교적 낙관적인 견해를 갖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는 깜짝 놀랐다. 이는 중국 엘리트층이 트럼프가 아니라 그들의 국가를 어떻게 바라보는가에 대해 많은 것을 말해준다.


익명을 원한 중국의 한 학자는 트럼프를 협상가로 규정한 뒤 “그가 흥정을 즐긴다지만 우리 역시 빼어난 딜메이커”라며 “베이징은 워싱턴의 몇 가지 주장에 간단히 동의해줄 수 있다”고 말했다. 한 고위 관리도 지난 2년간 위안화의 가치를 띄우기 위해 중국 정부가 노력을 기울여왔음에도 베이징은 ‘환율조작국’이라는 트럼프의 주장에 순순히 동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단 동의를 하고 나면 오히려 시장의 힘으로 위안화 가치가 떨어지고 중국 상품의 가격 역시 하락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중국 관리들은 그들이 경제적 무기를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도 지적했다. 중국은 미국 상품의 거대 시장일 뿐 아니라 지난해 미국 경제에 무려 460억달러를 쏟아 부은 큰손 투자가다.

그러나 트럼프를 대하는 베이징 관료들의 차분함은 국가 경제의 성장을 이어가기 위해 해외 시장에 의존해야 할 필요성이 감소하고 있다는 현실에서 비롯된다. 10년 전만 해도 중국 국내총생산(GDP)의 37%를 차지하던 수출 비중은 오늘날 22%에 머물고 있고 계속 떨어지는 추세다.

중국은 분명 변했다. 이제 서구 브랜드 대신 자국 기업들이 거대한 국내 시장을 송두리째 지배하고 있다. 정보기술(IT) 기업들은 눈부신 혁신을 계속하고 있고 중국의 많은 젊은이는 구글과 아마존·페이스북의 국내 버전이 오리지널에 비해 훨씬 낫다며 뿌듯해한다.


이런 상황은 부분적으로 정부 정책의 산물이다. 미국의 거대한 IT 기업들은 그들을 옥죄는 중국의 공식·비공식 규제들로 고전하고 있다.

관련기사



중국 정부의 다음 전략은 미국의 뒷걸음질로 생긴 무역 부문의 지도력 공백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다. 트럼프가 보호주의를 천명하고 멕시코와의 국경에 장벽을 쌓겠노라 으름장을 놓고 있는 사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해 11월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을 순방했다. 지난 4년 사이 세 번째 순방이었다.

중국 전략의 핵심은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이 사망했다는 트럼프의 선언을 최대한 이용하는 것이다. 현재 중국은 미국을 배제하고 중상주의적 접근법을 선호하는 자체 TPP 버전을 제안한 상태다. 한때 TPP의 버팀목이던 호주가 중국의 대체안을 지지한다고 발표했고 다른 아시아 국가들도 뒤를 이었다.

지난해 11월 페루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시 주석은 과거 미국 대통령의 전통적 연설을 방불케 하는 기조연설로 주목을 받았다. 시 주석은 교역과 통합·개방을 강조하는 한편 국제무대에서 글로벌 상거래와 협력에 등을 돌리지 않을 것이라고 약속했다. 그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아 시 주석은 다보스포럼에 참석한 중국 최초의 지도자가 됐다.

한편 서구 지도자들은 전통적 역할에서 벗어나고 있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다보스포럼 연설계획을 마지막 순간에 취소했다. 트럼프는 한술 더 떠 글로벌리즘과 세계화를 비아냥대는 발언을 했다. 트럼프를 살펴온 중국은 트럼프의 대통령 당선이야말로 실로 오랜만에 중국에 주어진 최고의 선물이 될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한 듯 보인다.

*알림 - 해외칼럼이 월요일자에서 화요일자로 바뀝니다.

손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