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3월 소비자물가 2.2% 상승…농축수산물·유가가 주도

4년 9개월만에 최고 상승률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2.2% 올라 4년9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농축수산물과 석유류가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 이에 따라 저물가 시대가 끝나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물론 정부는 기저효과에 기댄 측면이 있다면서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4일 통계청의 ‘3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2.79로 1년 전보다 2.2% 상승했다. 지난 2012년 6월(2.2%)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8월까지는 0%대였으나 9월 1%대로 올라섰고 올 1월에는 2.0%를 기록했다.

서민 식탁에 오르는 농축수산물과 교통비와 직결되는 석유류가 물가 상승을 주도하는 흐름도 계속되고 있다. 3월 농축수산물 물가는 5.8% 올라 전체 상승률을 2배 넘게 웃돌았다. 농축수산물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9월 9.1%로 치솟은 뒤 11월 8.0%, 올 1월 8.5% 등 고공행진하고 있다.


조류인플루엔자(AI)의 영향이 계속되는 달걀의 경우 가격이 43.1% 뛰었고 귤(106.2%), 양배추(91.5%), 당근(71.8%) 등도 많이 올랐다.

관련기사



글로벌 유가 상승의 여파로 석유류도 14.4% 올라 2011년 11월(16.0%)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석유류 가격은 전달에도 13.3% 상승했다. 석유 값이 뛴 탓에 교통비도 6.4% 올랐다.

농산물 및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4% 상승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는 1.7% 올랐다.

우영제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도시가스와 식료품 가격이 전반적으로 물가 상승세를 견인했다”며 “석유류 상승폭도 확대됐다”고 분석했다.

정부는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폭 확대는 기저효과에 기댄 측면이 크다고 보고 있다. 기획재정부의 한 관계자는 “농축수산물은 작황 호전 등으로 전월 대비 약보합세지만 지난해 3월에 더 큰 폭으로 하락함에 따라 전년 대비 상승세가 확대됐다”며 “석유류도 전월 대비로는 변동이 없으나 지난해 저유가에 따른 기저효과로 오름세가 지속하고 있다”고 분석했다./세종=서민준기자 morandol@sedaily.com

서민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