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재테크

재간접 공모펀드 이달 도입...운용사는 시큰둥

포트폴리오 채울 상품 적고

운용 정보 공개도 부담으로

여러 개의 헤지펀드를 하나의 공모펀드로 묶어 소액투자자도 가입할 수 있게 하는 ‘재간접 공모펀드(펀드 오브 헤지펀드)’가 이달 도입될 예정이지만 정작 자산운용사들은 관심이 없다. 금융당국이 도입 의사를 밝힌 후 1년 만에 시행이 되지만 시장이 형성될지도 의문이다.


4일 금융투자업계와 금융당국에 따르면 법제처는 이달 국무회의에서 재간접 공모펀드를 허용하는 내용의 자본시장법 시행령 개정안을 통과시킬 계획이다.

관련기사



재간접 공모펀드의 도입은 사모펀드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다. 지난해 5월 금융위원회는 최소투자금액이 1억~3억원으로 묶여 있는 헤지펀드의 일반투자자들 투자를 확대하기 위해 여러 사모펀드에 분산투자하는 재간접 공모펀드를 도입하기로 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이달 중순이나 말 정도에 법안이 공포되면 바로 상품 출시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이 같은 금융당국의 행보와 달리 상품을 출시해야 할 공모 운용사는 물론 투자를 받는 헤지펀드 운용사도 떨떠름한 반응이다. 공모 운용사가 상품 출시를 꺼리는 가장 큰 이유는 포트폴리오를 채울 만한 헤지펀드가 많지 않다는 점이다. 금융위는 재간접 공모펀드 내 개별 헤지펀드의 비중을 20%, 자사의 헤지펀드 비중을 50%로 제한하고 있다. 1개의 재간접 공모펀드를 내려면 최소 5개의 헤지펀드를 담아야 하는데 출시 1년밖에 되지 않은 한국형 헤지펀드를 가지고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기도 어렵다. 한 공모펀드 운용사의 임원은 “1년이라는 짧은 투자실적(트랙레코드)만으로 운용사와 펀드를 검증하는 일이 쉽지 않다”며 “재간접 공모펀드를 출시해놓고 수익률이 나쁠 경우에는 비난의 화살은 해당 헤지펀드보다는 상품을 만든 공모 운용사에 쏟아질 게 뻔해 시간을 두고 지켜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거꾸로 헤지펀드 운용사도 자사 펀드의 재간접 공모펀드 편입을 꺼린다. 헤지펀드는 운용 정보 등을 공개하지 않는데 재간접 공모펀드에 편입되면 공모펀드에 준하는 수준의 정보공개를 해야 해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재간접 공모펀드의 자금 모집력에 의문을 갖는 시선도 있다. 지난해 사모펀드 순자산이 250조원으로 공모펀드(212조원)를 추월한 상황에서 굳이 공모펀드 운용사에 기댈 필요가 없다는 판단이다.

김연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