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문화

국립오페라단 김학민 단장, “‘보리스 고두노프’는 러시아 핵심을 제대로 보여주는 오페라”

국립오페라단이 지난해 드보르작의 <루살카>를 국내 초연작으로 선보인데 이어 동구권 오페라 <보리스 고두노프>를 오는 4월 20일부터 23일까지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초연한다.

김학민 국립오페라단 예술감독은 4일 서울 서초구 서초동 예술의전당 연습동에서 열린 오페라 <보리스 고두노프>제작발표회에서, “우리나라 관객들에게 러시아 오페라의 핵심을 제대로 보여주자는 마음에 이번 작품을 선택했다.”고 말했다.




‘보리스 고두노프’ 제작진과 배우들이 4일 오전 서울 서초구 예술의 전당 N스튜디오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조은정 기자‘보리스 고두노프’ 제작진과 배우들이 4일 오전 서울 서초구 예술의 전당 N스튜디오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조은정 기자


국립오페라단 <보리스 고두노프>는 대한민국 오페라 역사의 기념비적인 무대를 예고해 관심이 집중된다. 국내 오페라 무대에서 이 작품이 공연되는 것은 1989년 러시아 볼쇼이 극장의 내한 공연 이후 28년만이다. 특히 국내 단체가 직접 제작해 무대에 올리는 것은 이번이 처음.

무소륵스키가 완성한 유일한 오페라 <보리스 고두노프>는 황권 찬탈의 야심을 품고 황태자를 살해하고 그 망령에 시달리다가 죽음을 맞이한 역사 속의 인물을 담은 푸시킨의 동명희곡을 원작으로 한다.

김학민 예술감독은 “무소륵스키의 대작 <보리스 고두노프>는 이탈리아 작품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특별한 감동을 선사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그렇기에 “광활한 러시아 대륙의 대서사적 역사, 차르의 지배를 받던 러시아 민중의 구슬픈 정서가 웅장하면서도 숙연한 오케스트레이션과 합창의 매력이 잘 드러날 수 있도록 노력 중이다.”고 설명했다.


파격으로 가득한 미장센을 선보이는 탁월한 감각의 연출가 스테파노 포다가 2015년 국립오페라단 <안드레아 셰니에>에 이어 다시 한번 국립오페라단과 조우한다. 이번 국립오페라단 공연에서는 1908년 림스키-코르사코프 제2개정판의 <보리스 고두노프>가 무대에 펼쳐질 예정.

관련기사



김학민 예술감독은 “무엇보다 주인공 보리스 고두노프와 함께 핍박 받았던 민중 자체가 또 하나의 주인공이 된 작품인 만큼 군중 장면, 즉 작품 내에서 합창단의 역할에 특별한 의미와 해석을 부여하는 탁월한 감각의 연출가 스테파노 포다와 함께 최고의 무대를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국립오페라단이 판에 박힌 오페라만 보여줘선 안 된다.”며 “‘팔리아치’ ‘외투’ 등 오페라 작품을 연달아 준비해야 해서 어려움의 장벽이 많지만, 예술작품을 잘 만들어나가야 하는 게 사명이라고 생각하고 열심히 해 나갈 것이다.”고 덧붙였다.

이번 국립오페라단 <보리스 고두노프>에는 최전성기의 베이스 6명과 메조소프라노 5명이 합류한다. 보리스 고두노프 역에는 동구권의 국보급 베이스 오를린 아나스타소프와 미하일 카자코프가 열연하고, 러시아의 메조소프라노 알리사 콜로소바와 한국의 대표 메조소프라노 양송미가 마리나 역으로 더블 캐스트 됐다.

지난해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라보엠> 로돌포 역과 올해 초 <로미오와 줄리엣>의 로미오 역으로 깜짝 데뷔하여 화제를 모은 테너 신상근이 그리고리 역을 맡은 맡았다. 또한 실력파 베이스 이준석, 박준혁, 김대영, 이진수와 4명의 메조소프라노 양송미, 양계화, 홍유리, 최혜영을 비롯하여 테너 서필, 이석늑, 민경환, 바리톤 손동철, 소프라노 구은경 등 성악가들이 함께한다.

정다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