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상원의원 26명, 트럼프에 ‘中 사드 보복’ 중단 촉구

하원 ‘北규탄 법안·결의안’ 처리 하루만에 상원도 목소리 내

미국 상원의원들이 미·중 정상회담을 이틀 앞둔 4일(현지시간) 중국의 한국에 대한 ‘사드 보복’ 철회 요구 등을 담은 연명 서한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앞으로 보냈다.

미 하원이 북한의 테러지원국 재지정 법안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규탄 결의안을 통과시킨 지 하루 만에 상원도 목소리를 낸 것이다.

서한은 트럼프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에게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에 대한 입장 재검토 ▲한국에 대한 부당한 경제적 보복 중단 ▲북한 비핵화에 대한 생산적 역할 수행 등 3가지 요구를 하라고 주문했다


이 서한에는 존 매케인(공화) 위원장과 잭 리드(민주) 간사, 테드 크루즈(공화), 엘리자베스 워런(민주) 등 군사위원회와 마코 루비오(공화) 등 외교위원회 소속 의원들을 중심으로 26명의 의원이 서명했다.

관련기사



이들 의원은 서한에서 “북 핵·미사일 능력이 한·일 등 미국의 동맹국에 대한 직접적인 위협을 넘어 미국에 대한 위협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한·미 양국은 북한 위협에 대한 대응으로서 사드 배치를 추진하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시진핑 주석의 방미와 관련해 한국에 대한 중국의 부당한 경제적 보복 조치에 관심을 두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또 “한·미 양국이 사드 배치라는 공동의 결정에 이르게 된 이유는 전적으로 북한의 도발적 행태 때문이라는 점을 시진핑 주석에게 강조하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한국 기업들에 대한 중국의 사드 보복 조치에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의원들은 “중국이 사드 부지 교환 이후 최소 55개의 중국 내 롯데 슈퍼마켓을 폐쇄하고, 한국발 전세기 운항 차단 및 중국 여행사의 한국 여행상품 판매 잠정 금지 등의 조처를 했다”며 “이는 한국 내 정치적 갈등을 조장하고 한미 관계를 이간질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중국은 사드에 반대하면서도 사드가 필요한 유일한 이유인 북한 핵·미사일 프로그램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별다른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며 “한미동맹은 아태지역 안보의 핵심축이며, 미국의 굳건한 대한 방위공약을 한국민들에게 알릴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