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미수습자 가족 '엇박자' 빨리 찾아야겠지만 방식을 달라 '잡음'

세월호가 육상 거치를 앞둔 가운데 해양수산부와 선체조사위원회, 미수습자 가족들이 서로 ‘엇박자’를 냈다.

세월호를 하루빨리 육상에 거치해 미수습자를 찾아야 한다는 점에서는 흐름을 같이 하지만, 각기 다른 방식으로 ‘잡음’만 내고 있다.


해수부는 4일 오전 브리핑을 통해 “5일 모듈 트랜스포터 테스트 운행을 거친 후 6일 세월호를 육상으로 이송할 계획”이라며 “7일에는 완전히 세월호를 육상 거치대로 옮기겠다”고 발표했다.

‘배수 문제’로 세월호를 육상으로 거치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천공과 ‘모듈 트랜스포터’ 추가 투입 등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소조기가 끝나는 7일까지 세월호를 목포신항 철재부두로 옮기겠다는 것.


하지만 선체조사위는 이날 오후 “해수부가 세월호를 육상으로 거치하기로 한 7일 데드라인을 맞추는 게 사실상 힘들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다음 소조기까지 기다려야 하는지에 대한 지적에는 “단정할 수 없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해수부는 이번 소조기가 끝나기 전까지 세월호를 육상으로 거치하겠다고 분명히 했지만, 선체조사위가 여기에 공식적으로 이의를 냈다. 그러면서 해양·조선 전문가로서 본 세월호 육상 거치 시점에 대해서는 대답을 피했다.

세월호의 추정 무게도 양측의 입장이 엇갈렸다. 해수부는 세월호 추정 무게를 1만3460t이라고 말했지만, 선체조사위는 1만4592t으로 말했다. 세월호의 육상 거치를 돕는 중장비인 ‘모듈 트랜스포터’가 감당할 수 있는 무게는 1만3000t으로 전해졌다.

해수부에 따르면 세월호를 육상에 거치하기 위해서는 무게를 460t 줄이면 되지만 선체조사위의 계산이라면 1592t을 줄여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애초 추가로 뚫은 21개의 구멍으로는 배수가 불가능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해수부와 선체조사위는 선체 객실수색 방안에 대해서도 의견을 달리하고 있는 상황. 해수부는 애초 객실 일부를 절단하는 ‘객실 직립 방식’을 고수했지만, 선체조사위는 세월호 훼손을 우려해 반대 입장을 보였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