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中 정상회담] 美 "북핵·통상 해결"vs 中 "신형 대국 인정"...스트롱맨들 氣싸움

<'세기 회담'에 쏠린 세계의 눈>

트럼프 "대북 독자행동·무역불균형 해소" 거듭 강조

시진핑, 지도부 교체 앞둬 '美와 동등관계' 공들일듯

中, 북과 은행거래 축소·시장 추가개방 선물 풀수도



‘세기의 정상회담’ ‘글로벌 스트롱맨들의 첫 만남’ ‘세계 양대 패권국 정상의 대결’.

온갖 수식어가 붙은 이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정상회담에서 두 정상이 새로운 미중관계를 어떻게 구축할지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번 회담은 ‘위대한 미국’을 선언하며 미국인의 자존심 회복에 나선 트럼프 대통령과 ‘중국의 꿈’을 그리고 있는 시 주석의 첫 탐색전이자 향후 최소 4년간 글로벌 질서의 밑그림이 그려질 무대라는 점에서 관심이 남다르다. 두 정상의 이번 첫 회담이 어그러질 경우 미국과 중국은 자칫 투키디데스의 함정(기존 패권국과 신흥 강대국의 전쟁)에 빠져 경제뿐 아니라 군사·안보 분야에서 대충돌에 휘말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이 이틀간의 정상회담 일정에 돌입한 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 외신들은 이번 정상회담 결과에 따라 세계 안보·통상 질서 이슈에서 큰 변화가 일 수 있다고 보도했다. 이번 정상회담은 두 정상의 첫 만남인 만큼 예의를 갖춘 ‘상견례’ 성격이 짙지만 북한 핵·미사일 문제와 무역 불균형, 환율조작 이슈, 남중국해 영유권, 하나의 중국정책 등 양국 간 핵심 현안들을 둘러싼 담판 또한 예고돼 있기 때문이다.

미중 정상회담 이틀째인 7일 오전(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팜비치 마라라고 리조트에서 열린 확대 정상회의에서 도널드 트럼프(왼쪽 다섯번째)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오른쪽 여섯번째) 중국 국가주석이 대화를 나누고 있다. /팜비치=AP연합뉴스미중 정상회담 이틀째인 7일 오전(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팜비치 마라라고 리조트에서 열린 확대 정상회의에서 도널드 트럼프(왼쪽 다섯번째)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오른쪽 여섯번째) 중국 국가주석이 대화를 나누고 있다. /팜비치=AP연합뉴스


가장 큰 의제이자 난제는 북핵 이슈다. 트럼프 대통령은 6일 플로리다 마라라고로 향하는 전용기 안에서 기자들에게 “중국이 대북압박을 강화하지 않으면 독자적 행동을 할 준비가 돼 있다”며 사실상의 최후통첩을 던졌다. 전날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의 통화에서도 “모든 선택지가 테이블 위에 있다”며 대북 선제 타격을 배제하지 않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드러냈다. 반면 한반도 정세 현상 유지를 원하는 시 주석은 대화·제재 병행을 내세우면서도 사실상 대북 압력 행사에는 주저하는 입장이다.


무역·통상 이슈에서도 힘겨운 줄다리기가 예상된다. 대선후보 시절 미중 무역 불균형 문제를 제기하며 중국을 성폭력범에 비유하는 표현까지 썼던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는 확실한 이득을 챙기기 위해 시 주석을 강하게 몰아붙일 것으로 보인다. 다만 해답을 찾기 힘든 북핵 문제보다는 경제 이슈에서 양국이 윈윈하는 타협점을 찾기 쉬운 만큼 두 정상이 이 분야에서의 성과 도출에 집중할 가능성이 크다.

관련기사



중국으로서는 오는 11월 지도부 교체가 맞물려 있는 19차 공산당 당대회를 앞두고 ‘신형 대국관계’라는 외교 노선에 공을 들일 가능성이 크다. 미국과 동등한 관계라는 시 주석의 외교 원칙을 트럼프에게 인정받는다면 중국은 북핵과 무역 문제에서 통 큰 양보를 할 수 있다는 게 외교가의 평가다. 특히 시 주석은 지도부 교체를 앞두고 안정적인 리더십을 대내적으로 증명해야 하는 만큼 이번 회담에서 갈등 요소를 부각시키기보다 트럼프 대통령을 “무난하게 다뤘다”는 평가를 받아야 한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때문에 중국이 ‘트럼프 달래기’ 차원에서 대규모 투자 선물을 안길 가능성도 크다. 이미 중국 상무부는 정상회담 기간 미국 캘리포니아 등 여러 주정부와 최소 25억달러 이상의 투자 협의를 진행하겠다고 밝힌 상태이며 AFP통신은 시 주석이 이번 회담에서 미국이 요구해온 중국-북한 간 은행 거래를 일부 제한하는 카드와 중국의 자동차·농업 시장 추가 개방을 약속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다만 미국이 선뜻 신형 대국관계를 받아들일지는 미지수다. 미국은 2009년 후진타오 전 국가주석과의 회담에서 ‘핵심이익’이라는 용어를 받아들였다가 이후 대만과 티베트 이슈, 남중국해 영유권 대립에서 중국이 핵심 이익을 내세우며 대립각을 세우는 바람에 곤혹을 치른 적이 있기 때문이다. 미 펜실베이니아 로스쿨의 자크 드리스리 교수는 “두 정상이 궤도에서 이탈하지 않는 관계를 유지만 시켜도 이번 회담은 큰 성공으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징=홍병문특파원 hbm@sedaily.com

홍병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