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쎄타2'엔진 결함 확인...현대차 17만대 리콜

국토부 조사 착수 6개월만에

그랜저·쏘나타 등 5개 차종

美서도 130만대 리콜 협의





쎄타2 엔진. 왼쪽은 GDI, 오른쪽은 Turbo-GDI쎄타2 엔진. 왼쪽은 GDI, 오른쪽은 Turbo-GDI


그랜저·쏘나타·K7 등 쎄타2 엔진을 장착한 현대·기아자동차의 5개 차종 17만대가 리콜(시정조치) 된다. 엔진이 갑자기 꺼지거나 화재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제기돼 국토교통부가 조사에 착수한 지 6개월 만이다.

국토부는 지난 2013년 8월 이전에 생산된 쎄타2 엔진을 장착한 그랜저(HG)·쏘나타(YF)·K7(VG)·K5(TF)·스포티지(SL) 총 5개 차종 17만1,348대에 대해 리콜 조치한다고 7일 밝혔다. 이는 2013년 현대차 아반떼 등 19개 차종 82만5,000대와 2015년 르노삼성차 SM5·SM3 39만2,000대 이후 국내에서 단일 사안으로 리콜된 사례 중 세 번째로 큰 규모다.


이번에 문제가 된 부분은 엔진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꿔주는 크랭크 샤프트다. 크랭크 샤프트가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마찰을 줄여주는 오일이 필요하고 크랭크 샤프트에는 오일이 나오는 구멍이 있다. 하지만 이 구멍을 만드는 과정에서 기계 불량이 생겼고 일부 차량에서 금속 이물질이 발생했다. 마찰열로 인해 이물질이 접촉면에 달라붙는 현상으로 이어졌고 주행 중 시동이 꺼지거나 화재가 발생하는 원인으로 작용했다.

관련기사



리콜은 개선된 엔진 생산에 걸리는 기간과 엔진 수급 상황 등을 고려해 다음달 22일부터 시작된다. 해당 차량 소유자는 현대·기아차 서비스센터를 방문해 점검을 받을 수 있고 현대·기아차는 이 중 문제가 확인된 차량에 대해 새 엔진으로 교체해줄 방침이다. 일부 부품에 대한 수리가 아닌 엔진 자체를 바꿔주는 리콜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대차는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과도 쎄타2 엔진 결함과 관련, 130여만대를 리콜하는 문제를 협의하고 있다. 대상 차종은 쏘나타(YFa)·싼타페(AN)·K5(QF)·쏘렌토(XMa)·스포티지(SL) 등 5개 차종으로 엔진 부품의 표면이 균일하게 가공되지 않은 게 원인이다. 현대·기아차는 국내와 마찬가지로 문제가 확인된 차량에 대해 엔진 자체를 교체해줄 방침이다.

이번 현대·기아차의 리콜을 두고 다소 대응이 늦었다는 지적도 나온다. 앞서 현대차는 2015년 9월 미국에서 쎄타2 엔진을 장착한 2011∼2012년식 쏘나타(YF) 약 47만대에 대한 리콜을 실시했고 2013∼2014년식은 보증 수리 기간을 연장했다. 국내 일부 소비자들 역시 세타2 엔진의 결함을 주장했지만 현대차는 “미국 생산 차량과 국내 차량은 무관하다”고 밝혔다. 이번 리콜은 자발적인 형식을 띠지만 국토부는 현대·기아차가 결함 사실을 숨겼는지 여부에 대해 추가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 현대차 관계자는 “2015년 미국 리콜 당시 문제가 됐던 것은 국내에서 발생하지 않은 현상이었다”며 “지난해 10월부터 국토부의 제작결함 조사에 성실히 협조해왔고 보증수리 기간을 연장한 후 많은 고객이 점검을 받게 되면서 해당 문제 가능성을 발견해 곧바로 신고했다”고 해명했다. 세종=강광우기자 pressk@sedaily.com

조민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