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세계 뒤덮는 그린웨이브]화석연료 소비 대국서 그린산업 대국 꿈꾸는 중국.인도

신재생 투자 선진국 첫 추월

'소비력·경제성장·정부 지원'

삼박자로 에너지강국 발돋움

거대경제대국이 된 중국과 인도는 전세계 에너지의 29%를 소비한다. 2040년이면 전 세계 에너지 소비의 34%를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화석연료 소비 1·2위국인 두 나라는 성장 엔진이 멈추지 않도록 석유나 석탄 등 전통 에너지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다.

이뿐 아니다.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을 위해 시작한 신재생에너지 산업 육성에도 성공해 이미 자타 공인 신재생에너지 대국 반열에 올랐다. 실제로 지난 2015년에는 중국·인도 등 개발도상국 신재생에너지 투자 총액이 처음으로 선진국의 규모를 추월했다. 중국(1,029억달러), 인도(102억달러)의 투자 금액은 전 세계 투자 총액(2,860억달러)의 40%에 달할 정도로 신재생에너지 분야 투자에 열을 올리고 있다.

0815A10 에너지시리즈2





중국은 특히 태양광 시장에서 독보적이다. 중국의 태양광 시장은 77.4기가와트(GW) 규모로 세계 최대다. 미국의 7배 수준이다. 지난해 중국에 새로 설치된 태양광 발전량 규모 역시 전 세계 물량의 47%에 달한다. 이 밖에 풍력 발전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를 공격적으로 늘린 결과 중국의 에너지 발전설비 용량 중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은 2013년 8.3%에서 2015년 13.3%로 껑충 뛰었다.

관련기사



이러한 성장의 배경에는 중국 정부의 과감한 지원이 있었다. 2013년 리커창 총리는 중국이 환경오염의 주범국가로 꼽히자 ‘환경오염과의 전쟁’을 선포했다. 자칫 환경 규제로 국내 산업을 옭아맬 수도 있었던 상황을 중국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산업 육성과 연계해 영리하게 대처했다. 태양광발전 사업 허가 절차를 간소화하고 제조업체에 자금을 지원했다. 현재 세계 1위 태양광 업체인 보리협흠에너지(GCL) 등 중국 에너지 기업들이 중국 정부를 등에 업고 글로벌 태양광 시장을 석권할 수 있었던 이유다. 이후 신재생에너지 의무 할당제(RPS)를 추진하는 등 후속 지원에도 총력을 다하고 있다.

이병석 한전경제경영연구원장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육성하기 시작한 중국이 정부의 파격적인 지원 등을 통해 세계에서 굉장히 앞서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에 이어 석탄 연료를 두 번째로 많이 쓰는 인도도 신재생에너지 강국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공장이나 도시를 개발할 때 가동 전력의 10%를 신재생에너지로 의무화하는 제도 등을 통해 2022년까지 신재생에너지로 175GW의 전력을 생산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 목표에 따라 최근 2년간 인도의 풍력과 태양열 전력 생산량은 각각 7GW, 5.8GW나 늘었다. 지난달 30일에는 세계에너지기구(IEA)와 협력하기로 해 국제무대로 나갈 채비도 하고 있다. 송양훈 인천대 교수는 “IEA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이 세계 에너지 관리를 위해 만든 단체”라며 “비회원국인 중국과 인도가 준회원 자격으로 참여한 것은 국제사회가 에너지 주류로 인정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강광우·김상훈기자 pressk@sedaily.com

강광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