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공기 음이온 농도, 집에서도 체크 OK

KETI, 나노 반도체 FET센서 개발

전자부품연구원(KETI)이 개발한 나노 반도체 실리콘 FET 센서를 통해 공기 중 음이온의 발생 상태가 실시간으로 웹페이지에 기록되고 있다./사진제공=전자부품연구원전자부품연구원(KETI)이 개발한 나노 반도체 실리콘 FET 센서를 통해 공기 중 음이온의 발생 상태가 실시간으로 웹페이지에 기록되고 있다./사진제공=전자부품연구원





에어컨, 공기청정기, 가습기, 제습기 등 가전 제품에서 나오는 음이온의 농도와 상태를 가정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관련기사



전자부품연구원(KETI)은 공기 중의 음이온을 검출하는 나노 반도체 실리콘 FET(Field Effect Transisor·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센서와 동작 알고리즘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공기 중의 음전하를 띤 음이온입자나 음이온 클러스터가 FET의 게이트 전극에 흡착되면 반도체 나노채널의 전기전도성 변화로 그 농도를 검출하는 원리다. 지금까지 공기 중 음이온은 살균, 탈취, 미세먼지 제거 효과가 탁월해 에어컨, 공기청정기, 가습기, 제습기 등 가전에 채택돼 왔다. 하지만 음이온 농도를 확인할 수 있는 장비가 200만~300만원의 고가여서 음이온 발생기 교체시기를 확인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했다. 하지만 이번에 KETI가 개발한 기술을 이용하면 일반인들도 쉽게 가전의 음이온 발생 여부와 농도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을 만날 수 있게 된다. 또 이번 기술은 소비전력이 낮아 사물인터넷(IoT)과 접목해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해 공기 중 음이온 검출 이외에 유해가스 분야의 신규 시장 창출도 기대된다. 이국녕 KETI 휴먼케어시스템연구센터 책임은 “현재 공기중 음이온 검출센서 실증 단계를 거쳐 유해가스 분야 사업화를 위해 국내 가스센서 기업과 후속 연구를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백주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