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한국, 환율 조작국지정 위기 넘기나

美·中 무역불균형 시정 '100일 계획' 합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7일(현지시간) 첫 정상회담에서 무역 불균형 시정을 위한 ‘100일 계획’에 합의했다. 이는 미국의 대중수출을 늘려 무역적자를 축소하겠다는 뜻으로 이번 회담의 가장 큰 성과물이다. 윌버 로스 미 상무장관은 미중 정상회담 후 브리핑에서 “중국은 무역수지 흑자가 통화공급과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 때문에 무역수지 축소에 관심을 표했다”며 “미국은 중국에 대한 수출을 늘려 무역적자를 축소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100일 계획’의 구체적인 내용은 베일에 싸여 있지만 중국의 미국 원유 수입 증대와 미국산 자동차 관세 인하 등 중국이 미국산 제품이나 서비스의 수입을 늘리는 내용이 포함될 것으로 관측된다. 이렇게 되면 위안화 절하 압력에 제동이 걸리고 미국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는 우려도 덜 수 있다.

관련기사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양국의 ‘100일 계획’에 따라 환율조작국 지정 가능성이 낮아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미국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 가능성이 낮아졌다”며 “중국이 지정되면 우리도 엮여 함께 지정되는 것이 걱정이었는데 이대로라면 우리나라를 지정할 가능성도 더 낮아진 것으로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베이징=홍병문특파원 뉴욕=손철 특파원 hbm@sedaily.com

홍병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