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 정치권 대북 압박 높여야 한 목소리··“포스트 김정은 계획 필요”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장김정은 북한 국방위원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워싱턴DC=EPA연합뉴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워싱턴DC=EPA연합뉴스



미국 정치권이 대북 압박의 수위를 높여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북핵 문제와 관련해 ‘포스트 김정은’, 김정은 제거 이후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10일(현지시간) 코리 가드너(공화·콜로라도) 미국 상원 외교위원회 동아시아·태평양소위 위원장은 MSNBC방송과 한 인터뷰에서 김정은 제거 이후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가드너 위원장은 이날 “김정은 이후에 누가 자리를 잇게 될지에 대한 궁금증이 있는 것 같다”며 “하지만 내가 북한 전문가들과 만나본 바로는 아무도 그 대답을 갖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그는 이어 “김정은 정권의 비핵화 계획을 진전시켜야 하지만 그 이후에 무슨 일이 일어날지에 대한 계획도 있어야 한다”며 “현 시점에 그에 대한 해답이 없다는 것은 중요한 의문점”이라고 우려했다.

가드너 위원장은 상원 외교위에서 한반도를 포함한 동북아 문제를 관장한다. 북한의 미사일 도발 이후 북한과 거래하는 제3국의 기업과 기관을 직접 제재하는 ‘세컨더리 보이콧’ 도입을 주장하는 등 북핵 문제에 강력히 대처할 것을 주문해 왔다.

같은 날 민주당의 벤 카딘(메릴랜드) 상원의원 역시 MSNBC와의 인터뷰에서 “북한 문제를 변화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중국이 북한에 대해 무역 측면에서 더 많은 압력을 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공화당의 윌 허드(텍사스) 하원의원도 CNN방송에 출연해 “중국은 한·미 동맹관계보다 김정은이 더 큰 문제라는 것은 인식해야만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우리는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 준비에 대해 어떻게 대처할지를 생각해봐야 한다”며 “만약 북한이 ICBM 시험 발사를 하면 격추할 것인가, 아니면 방해받지 않고 시험하도록 놔둬야 하는가, 이것이 우리가 처한 현실”이라고 강조했다.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