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 北미사일 격추태세 돌입...동맹국에 통보"

美의회 "포스트김정은 대비해야"

외교부는 "4월 한반도 위기설 근거 없다"

미국의 칼빈슨 항공모함이 한반도로 이동 중인 가운데 미국이 북한의 탄도미사일 격추 태세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는 4월 한반도 위기설에 대해 “근거가 없다”고 일축했지만 미국 의회에서 ‘포스트 김정은’ 플랜이 거론되기 시작하고 중국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한반도 충돌 가능성이 제기되는 등 한반도 안보를 둘러싼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호주의 데일리텔레그래프는 11일 정보 소식통들을 인용해 “북한이 김일성 전 주석의 생일인 15일 태양절을 전후로 탄도미사일 시험발사를 할 수 있다”며 “미국이 호주 등 동맹국에 이들 미사일을 격추할 준비가 돼 있다고 통보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미국과 합동으로 운영 중인 호주 북부의 군사시설도 북한 미사일 발사 동향을 감시하며 비상대기 중이라고 전했다. 미국의 국방 싱크탱크인 랜드연구소의 브루스 베넷 선임연구원도 칼빈슨호의 한반도 이동에 대해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동해상에 발사하면 이 전함들이 요격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로리 로빈슨 북미우주항공사령관이 북한의 개량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개발에 대비해 고성능 레이더 배치를 위한 10억달러의 예산을 최근 의회에 요구한 사실도 확인됐다.

관련기사



미 의회의 대북 강경 기조도 여전하다. 코리 가드너 상원 동아시아태평양소위 위원장은 10일(현지시간) 북핵 문제와 관련해 “김정은 이후 누가 자리를 잇게 될지 아무도 대답을 갖고 있지 않다”며 정부에 ‘포스트 김정은’ 플랜 수립을 촉구했다고 미 언론은 전했다.

한반도 긴장 고조에 따른 우려가 커지자 외교부는 “한미 양국은 북한 관련 사안에 대해 긴밀히 조율하고 있다”며 “미국이 우리와 협의 없이 새로운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고 강조했다.

한편 미국이 폭발력이 큰 군사행동을 후순위에 놓고 대중 압박을 우선시할 것이라는 관측이 여전한 가운데 일본 산케이신문은 11일 미국이 북핵과 관련한 중국 기업에 대한 추가 제재를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중국도 지난주 미중 정상회담 합의를 고려해 북한에서 가장 많은 석탄을 수입하는 자국 무역회사인 단둥쳉타이에 북한산 석탄의 반환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환될 석탄은 60만톤에서 최대 200만톤으로 추정된다. /뉴욕=손철특파원 베이징=홍병문특파원 runiron@sedaily.com

손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