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장애인 선수' 취업, 부산이 함께 뛴다

市, 작년 '후견인제' 성공 이어

장애인 체육회·고용공단 맞손

6월 사격 등 5개팀 창단 방침

공공기관 의무고용 5%로 확대

민관 총 4,700개 일자리 발굴

1215A31 부산장애인선수지원사업


부산시가 장애인 스포츠 선수의 취업을 지원하기 위해 발벗고 나섰다.

부산시는 지난해 기업인이나 로타리·라이온스클럽 회원 등을 후견인으로 위촉해 장애인의 취업을 알선·지원하는 ‘장애인 후견인제 사업’으로 1,000여명의 일자리를 만드는 등 장애인 취업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11일 부산시에 따르면 시는 오는 6월부터 부산시 장애인체육회·한국장애인고용공단 부산지사와 함께 장애인의무고용미달 기관을 대상으로 스포츠 선수팀을 창단하고 근로계약을 맺는 등 장애인선수의 취업활동 지원에 나선다.


장애인체육회는 취업을 원하는 장애인선수를 발굴해 정보를 제공하고, 부산시와 장애인고용공단은 장애인 고용을 희망하는 기업들을 찾아내 근로조건을 조율하는 등 장애인 고용을 매칭해주는 방식이다. 채용된 장애인 선수의 훈련일정 등은 장애인체육회가 맡는다.

관련기사



부산시 관계자는 “지역 공공기관과 민간 기업들 중 장애인고용부담금 납부 기관을 대상으로 장애인스포츠선수와 근로계약을 체결하도록 지원하려는 것”이라며 “기관이나 기업은 장애인고용부담금으로 장애인고용을 늘려 사회공헌을 할 수 있고 장애인 선수들은 취업으로 생계안정에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시는 다음달까지 이 사업에 참여할 사업체를 발굴한 뒤 오는 6월께 참여 기관 또는 기업 등과 장애인 스포츠 선수단 채용 관련 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우선 수영·육상·사격·배드민턴 등 4개 종목 9명을 대상으로 시범실시하고, 공공 2개팀과 민간 3개팀 등 총 5개 팀을 만들 계획이다. 현재 패럴림픽이나 전국체전 등 국내외 체육대회에 참여하는 부산지역 장애인선수는 600명 정도이고, 생활 체육인을 포함하면 1,500여명에 달한다.

부산시 관계자는 “이미 패션 전문점 ‘웰메이드’ 브랜드로 알려진 세정 등 지역 굵직한 기업에서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며 “이 사업이 자리를 잡으면 장애인 스포츠 실업팀을 창단하는 등 사업을 확대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부산시는 올해 공공부분 3,100개, 민간부문 1,600개 등 총 4,700개의 장애인 일자리를 발굴할 계획이다. 공공기관 의무 고용률은 기존 3.2%에서 5%로 확대하고, 장애 유형별 맞춤형 일자리재정사업도 펼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지난해부터 시행하고 있는 폐쇄회로(CCTV) 통합관제센터의 장애인 채용을 확대한다. 현재 CCTV 관제요원 중 8.5%가량을 장애인으로 채용하고 있는 것을 올해부터 50세 이상 장년 장애인으로 확대해 10%까지 늘린다. 또 지역의 50여 관광호텔의 참여를 유도해 장애인 일자리 100개를 창출하고, 장애인채용 박람회도 연다. 이외에도 장애인 일자리통합센터도 신설해 직업훈련·취업·사후관리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시스템을 갖출 예정이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