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대선 주자들 ‘한반도 위기설’에 안보 주도권 잡기 경쟁, 경제공약도 잇따라 발표

대선 주자들 ‘한반도 위기설’에 안보 주도권 잡기 경쟁, 경제공약도 잇따라 발표대선 주자들 ‘한반도 위기설’에 안보 주도권 잡기 경쟁, 경제공약도 잇따라 발표




대선 주자들이 ‘4월 한반도 위기설’이 확산되면서 ‘안보 이슈’가 이번 대선의 핵심 쟁점으로 높아지고 있다.


대선 주자들은 5·9 장미대선을 27일 앞두고 안보문제로 중도·보수층 표심을 차지하기 위한 대선주자 간 ‘중원싸움’이 한층 치열해졌다.

이처럼 안보 이슈가 떠오른 이유는 북한의 태양절(4월15일) 추가 도발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시작됐으며 정부 조차도 4월 북한의 도발 가능성을 크게 점치고 있다.

또한, 미국 항공모함 칼빈슨호 한반도 인근 재배치, 트럼프 정부의 강경한 대북메시지 등은 한반도 위기설 확산을 거들고 있다.

대선 주자들 중 안보 이슈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해 가장 빠른 움직임을 보인 사람은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로 11일 한반도 위기 상황과 관련해 국회의장이 주재하고 5당 대표와 대선후보가 참여하는 ‘5+5 긴급안보비상회의’ 개최를 제안했다.

과거 ‘사드 배치는 차기 정권이 결정할 문제이고 국회 비준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했던 문 후보는 “북한이 6차 핵실험을 강행하면서 핵 도발을 계속하고 고도화해 나간다면 사드배치가 불가피할 수 있다”고 입장을 밝혔다.


이어 문 후보는 전날 페이스북에 “저의 모든 것을 걸고 한반도에서의 전쟁을 막겠다”며 “문재인은 김정은이 가장 두려워하는 대통령, 미국이 가장 신뢰하는 대통령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대선 주자들 중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 또한 ‘사드배치 반대’인 당론을 찬성 쪽으로 바꾸겠다고 말했다.

이날 안 후보는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북핵 문제야말로 한국 안보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라며 “북핵 문제를 해결하려면 동맹국인 미국과 공조해야 한다고 중국을 설득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선후보는 이날 북한과 맞닿아있는 경기도 파주 판문점과 임진각을 찾으며 안보 행보에 나섰으며 한반도를 둘러싼 군사적 긴장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안보는 한국당’이란 인식을 강화하고 보수층 집결을 유도하기 위한 전략으로 보인다.

홍 후보는 보수진영에 불리한 대선 구도 타개책으로 ‘보수우파 대통합’을 외치기도 했다. 홍 후보는 “보수우파 대통합은 준엄한 역사의 명령”이라며 “이는 선택의 문제가 아닌 역사의 책임”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대선 주자들은 경제 공약들도 잇따라 발표했다.

문재인 후보는 어제 가계통신비 부담 절감 대책을 발표했다. 이는 단말기 지원금 상한제를 없애 단말기 구입비를 낮추고 통신 기본료를 완전히 폐지해 가계의 통신비 부담을 크게 낮추겠다는 내용이다.

[사진=SBS 방송화면 캡처]

박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