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휴대전화 지원금 상한제.. 조기 일몰 어려울 듯

헌재에서 883일째 심리하고 있지만 결론 못내

문재인 후보가 전날 조기 폐지 입장 밝혔지만 국회 상황 감안하면 힘들 듯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중 소비자 불만이 가장 많이 집중됐던 ‘휴대전화 지원금 상한제’는 예정보다 일찍 일몰(日沒)될 수 있을까.

12일 법조계에 따르면 휴대전화 지원금 상한제는 지난 2014년 단통법 시행 직후 헌법소원심판이 청구됐으나 헌법재판소에서 아직까지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있다. 헌재는 관련 헌법소원 사건을 2014년 10월 4일 접수해 그해 11월 12일 심판에 회부한 후 이날까지 883일째 심리 중이다.


핵심 쟁점은 제조사와 통신사가 휴대전화 지원금을 일정액 이상 지급하지 못하도록 규정한 단통법 일부 조항이 헌법에 위배되는지 여부다. 청구인들은 휴대전화 소비자로서 지원금 상한제가 계약의 자유를 침해하고 자유시장경제 원칙을 거스른다는 입장이다. 반면 방송통신위원회는 지원금 상한제가 사업자 간의 소모적인 경쟁과 소비자 차별을 없애는 등 시장 안정에 크게 기여했다 입장이다.

관련기사



정치권 또한 이와 관련해 노력을 하고 있지만 일몰 예정 시점이 6개월 정도밖에 남지 않은 만큼 뾰족한 해법을 내놓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문재인 더불어 민주당 대통령 후보가 전날 지원금 상한제 조기 일몰 공약을 밝혔지만 관련 단통법 개정안이 미방위 법안심사소위조차 통과하지 못하고 있는 탓에, 문 후보가 당선되더라도 시행이 어렵다. 법조계 관계자는 “헌재가 10월 이후 본안 판단 없이 청구를 각하할 가능성도 커보인다”고 밝혔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