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책

금감원 ‘대선 테마주’ 시세조종 첫 적발…수법 살펴보니

시총 적은 테마주 미리 사들인 후

“유력주자와 연관” 글 수백개 게재

초단타 분할매매로 ‘개미들 유혹’

수천만원대 부당이득 챙겨

1315A22 금감원적발




“C사의 사장이 대선후보의 중소기업 싱크탱크다. 당선되면 C사의 주가는 날아간다.”


정치테마주 게시판에 올랐던 이 말은 새빨간 거짓말이었다. 그냥 꿀을 잔뜩 발라 개미투자자들을 유인하기 위한 개미지옥일 뿐이었다.

대선 시즌 정치테마주의 주가를 부풀려 수천만원의 부당이득을 챙긴 ‘개미’들이 적발됐다. 이번 19대 대선과 관련해 불법 거래가 적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금융감독원 정치테마주 특별조사반은 12일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개인투자자 A씨와 B씨 2명을 검찰에 통보 조치했다. 이날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는 정례회의를 열고 해당 안건을 의결했다.


A씨와 B씨는 둘 다 대선 테마주로 분류된 C사의 주식을 노렸다. C사의 주식이 다른 대선 테마주보다 시가총액이 적고 따라서 거래량이 많지 않아 매수세를 유인하기 좋다는 점을 이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A씨와 B씨는 서로 연관이 없는 사람들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A씨는 지난해 9월 C사 주식을 미리 사들였다. 여러 계좌를 통해 매수하는 ‘쪼개기’ 수법을 사용했다. 이후 A씨는 ‘C사의 주식이 특정 대선 유력 주자와 연관돼 있다’는 게시글을 각종 주식 온라인 커뮤니티에 반복적으로 올렸다. 그러나 대부분이 과장된 글이었고 이중 일부는 A씨가 지어낸 허위 사실이었다. 한 달 동안 수백 개에 달하는 글을 게시하며 개미들을 꼬드겼다. 게시글에 솔깃해 개미투자자들의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주가는 큰 폭으로 올랐고 A씨는 C사의 주식을 팔아 차익을 남겼다. 이런 식으로 지난해 9~10월 동안 벌어들인 돈은 1,300만원에 달한다.

B씨 역시 C사의 주식이 거래량이 적다는 것을 활용했다. B씨의 경우 갖가지 형태의 주문을 통해 매수세를 유인했다. 5일 동안 고가 주문, 상한가 주문, 허수 주문 등 다양한 형태의 시세조종 주문을 수백 회나 한 끝에 결국 개미들의 투심을 자극하는 데 성공했다. B씨가 취한 부당이득은 3,600만원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불공정거래 행위가 드러난 만큼 금감원은 정치테마주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방침이다. 금감원은 현재 11개의 종목을 집중 조사 중이며 이 중 5개에 대해서는 이미 초단기 시세조종 혐의가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정치테마주에 술렁이는 것도, 피해를 보는 것도 결국은 개미들이다. 실제 지난 11일 한국거래소가 지난해 2월부터 1년간 정치테마주를 심리한 결과 투자자의 98.2%가 개인투자자였다. 기관과 외국인 비중은 각각 0.4%, 1.5%에 불과했다. 손해 역시 개인투자자가 봤다. 심리대상기간 중 매매손실이 발생한 위탁자의 99.6%가 개인투자자로 계좌당 평균 손실액은 77만원으로 집계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부정거래를 적발하면 바로 검찰에 고발하는 긴급조치권을 발동했던 18대 대선 때보다는 나아졌지만 아직도 정치테마주의 유혹을 떨쳐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며 “허위 정보 유포, 초단기 분할 매수를 통한 매매 유인 등에 특히 유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