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보건의료계 여성 유산위험 높다

의약품·방사선 노출 등 영향

다른 직종에 비해 33% 높아

간호사, 의사, 방사선 치료사 등 보건의료업에 종사하는 여성의 유산 위험도가 다른 직종 여성들에 비해 최대 33%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연합뉴스간호사, 의사, 방사선 치료사 등 보건의료업에 종사하는 여성의 유산 위험도가 다른 직종 여성들에 비해 최대 33%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연합뉴스


간호사, 의사, 방사선 치료사 등 보건의료업에 종사하는 여성의 유산 위험도가 다른 직종 여성들에 비해 최대 33%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의약품, 방사선 등에의 과도한 노출, 직업 스트레스 등이 그 이유로 지목됐다.

13일 강모열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팀은 보건의료업 종사자, 비근로 여성, 직장여성, 교육업 종사자 등으로 나눠 임신과 관련된 상대 위험도를 평가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2013년 국민건강보험 자료에서 임신이 확인된 44만 760건을 조사 대상으로 삼았다.

논문에 따르면 보건의료업 종사자(3만 4,918건)의 유산율은 24.3%이었다. 비근로 여성(21만 9,767건)의 19.1%, 직장 여성(21만 576명)의 23%, 교육업종사자(3만 6,988명)의 21%보다 높은 수치다.


조기분만율도 12%로 대조군(각 10.6%, 11.4%, 11.2%)을 웃돌았다. 산전검사상 이상소견율(1.6%, 1.1%, 1.1%, 1.1%)과 태내 발육지연율(1.8%, 1.5%, 1.6%, 1.4%)도 보건의료업 종사자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관련기사



연구팀은 보건의료업 종사자의 유산 ‘상대 위험도’가 최대 33%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조기 분만, 태내 발육지연, 산전검사상 이상소견 위험도도 각각 14%, 34%, 43%가량 더 높게 추산됐다.

이는 보건의료업 종사자들이 근무 중 방사선, 각종 의약품, 소독제 등의 물리화학적 유해인자에 꾸준히 노출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연구팀은 교대근무, 육체적 과로, 감정노동 등도 임신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지적했다.

강 교수는 “간호사, 의사, 방사선 치료사 등 보건의료업 종사자의 80%가 여성이다”며 “이들 중 대부분이 가임기 연령대인 만큼 저출산 문제 해소를 위해서라도 실질적인 모성보호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생식건강 문제는 다음 세대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국가적 보건 이슈로 다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은지 인턴기자 ejee@sedaily.com

조은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