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비스타 워커힐 '지속 가능 럭셔리' 라이프스타일 호텔 새단장

800년 된 올리브 나무 선보인 로비부터 눈길

크리에이티브 클래스 겨냥 한층 업그레이된 서비스

단순 휴식처 아닌 즐길 것 많은 킬러 콘텐츠 가득







비스타 워커힐 서울이 ‘지속 가능한 럭셔리’ 콘셉트로 새롭게 리뉴얼하며 문화와 테크놀로지를 조화시킨 새로운 라이프스타일 호텔로 거듭났다.


비스타 워커힐 서울은 13일 오프닝 세리머니를 갖고 비스타가 야심차게 준비한 올리브 나무의 프로젝션 맵핑과 시그니처 보타닉 가든 스카이야드 등을 공개했다.

‘최고의 경관’에서 영감 받은 브랜드명인 ‘비스타’에는 ‘워커힐의 미래’라는 뜻이 내포돼 있다. 비스타의 로고는 워커힐의 대표적 전경인 한강과 아차산의 형상을 V와 A로 표현하고 이를 반복해 자연과의 공존ㆍ공영을 나타내면서 현재에서 미래로 향하는 모습을 패턴화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로비에 자리한 이탈리아 시칠리아섬에서 건너 온 800년 된 올리브 나무다. 이는 4층 야외에 있는 시그니처 보타닉 가든과 함께 세계적인 플랜트 헌터인 니시하타 세이준이 큐레이션 한 프로젝트 작품이다.


올리브 나무는 ‘아트센터 나비’와 미디어 아티스트 ‘김치앤칩스’, 로보틱스 아트팀인 ‘팀 보이드’와의 컬래버레이션 아트 워크 ‘프로젝션 맵핑(Projection Mapping)’을 통해 자연을 미래지향적으로 표현했다. 이는 국내 최초로 로봇암(Robot Arms)을 활용했다.

관련기사



이번에 비스타가 첫 선을 보인 시그니처 보타닉 가든 ‘스카이야드’는 고객들에게 진정한 웰니스(Wellness)를 선사할 것으로 보인다. 고생대 고사리과 나무 ‘딕소니아’와 다양한 식물로 둘러싸인 정원, 한강 전경을 바라보며 즐기는 풋 바스(Foot Bath) 시설, 테라스 바를 포함해 스카이야드 이용객을 위한 지압길, 요가 데크 등 건강을 생각한 산책길을 조성했다. 호텔에는 ‘유키 구라모토’가 워커힐만을 위해 특별하게 편곡한 시그널 음악이 잔잔하게 흐르도록 했다.

W호텔의 타깃 층이 20~30대 젊은 패션 피플로 마니아층이 형성돼 있었다면 비스타는 전문가 집단인 일명 ‘크리에이티브 클래스’를 겨냥했다.

250개의 객실은 레드와 화이트 대신 은은한 그레이와 블루 톤을 배색했다. 이탈리안 레스토랑 ‘델 비노(DEL VINO)’는 콜드 메뉴 라이브 세션을 마련해 조식 및 점심 뷔페에도 적합한 공간으로 조성했다. 정통 일식당 ‘모에기(MOEGI)’는 스시 카운터를 창가 쪽으로 배치해 서울 시내 최고의 경관과 함께 정통 일식 메뉴를 선보이며 데판야끼 존을 새롭게 조성, 다양한 철판 요리를 제공한다. 프리미엄 소셜 라운지 바 ‘리바(Re:BAR)’는 라이브 DJ 음악과 최고의 믹솔로지스트들이 선보이는 시그니처 칵테일 ‘몽키 47’ 등을 즐길 수 있다. 이밖에 스위스 명품 코스메틱 브랜드 발몽의 ‘브이스파(V SPA)’와 하이폭시(Hypoxi), 슬링(Sling) 등의 차별화된 장비 및 수(水) 치료 시설, 1:1 맞춤형 웰니스 컨설팅을 갖춘 ‘웰니스 클럽(WELLNESS CLUB)’을 준비했다.

도중섭 워커힐 총괄은 “호텔은 단순히 숙박과 식음 기능만을 가진 공간이 아닌 완전히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라이프스타일로 변화하고 있다”며 “삶과 자연, 미래가 공존하는 여기 ‘비스타 워커힐 서울’의 킬러 콘텐츠와 함께 고객들이 새로운 영감과 자연의 소중함, 건강한 미래를 꿈꿀 수 있기를 진심으로 바란다”고 전했다.

심희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