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면접때 "경력없다" 핀잔...서러운 사회초년생

3월 고용보험 자격 취득자 중

신규 취득한 경우는 14% 그쳐

기업들 인재육성 의지 실종에

구직자 비정규직으로 내몰려



지난 2월 서울 소재 대학을 졸업한 김모(27)씨는 최근 한 마케팅 업체에 들어가기 위해 면접을 봤다가 황당한 경험을 했다. 신입사원을 뽑는다고 해서 지원했는데 면접관으로부터 ‘경력도 없으면서 여기 왜 왔냐’는 핀잔을 들은 것이다. 김씨는 “대부분의 회사가 신입직원을 거의 뽑지 않고 일부가 뽑는다 해도 ‘경력 있는 신입사원’을 채용하고 있다”며 “회사가 받아줘야 경력도 쌓는데 대학을 갓 졸업한 구직자들은 도대체 어디 가서 일하라는 건지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경기침체가 이어지면서 기업들이 교육 등에 많은 비용을 들여야 하는 신입직보다 곧바로 실무에 투입할 수 있는 경력직을 선호하는 현상이 더욱 극심해지고 있다.

13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달 전체 고용보험 피보험 자격 취득자(취업자) 76만9,000명 가운데 신규 취득자(신입사원)는 10만8,000명(14.1%)에 불과했다. 반면 예전에 고용보험에 가입한 이력이 있는 경력 취득자(경력직원)는 66만1,000명(85.9%)에 달했다. 취업에 성공한 10명 가운데 불과 1~2명만 신입직원이었던 셈이다.


기업들의 경력직 선호 정도가 점점 더 커지는 경향은 수치로도 드러난다. 경력 취득자 수를 신규 취득자 수로 나눈 배율은 3월 기준으로 2014년 4.5배에서 2015년 5.1배, 2016년 5.6배, 올해 6.1배로 해마다 커지고 있다. 양현수 고용부 미래고용분석과장은 “경력/신규 취득자 배율이 산출을 시작한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우상향 그래프를 그리고 있다”며 “추이를 볼 때 앞으로도 배율은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현장 분위기 역시 심상치 않다. 최근 취업포털 사람인이 올해 상반기 신입직 채용계획이 있는 기업 321개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 응답 기업의 45.8%가 ‘신입 대신 경력 채용으로 대체할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이유는 ‘즉시 실무 투입 가능’ ‘신입직 채용 시 교육 시간 및 비용 부담’ ‘신입과 비교해 적은 인원으로 성과 창출 가능’ 등이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기업들이 생존과 이익 극대화를 위해 인재육성 의지마저 잃어가고 있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문제는 이 같은 경향이 심해지면 고용시장의 부익부 빈익빈이 심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구직자들이 경력을 쌓기 위해 울며 겨자 먹기로 일해야 하는 처지에 내몰리게 되면 비정규직·계약직 등 질 낮은 일자리의 대량 양산도 우려된다. 고용보험 기금 측면에서는 경력 취득자가 늘어나면 더 많은 실업급여를 지급해야 하는 문제로 이어진다.

권혁 부산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기업이 인재양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경기가 어려워 어쩔 수 없이 이를 후순위에 두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회사 입장에서 청년 신규 채용이 이익이 되도록 정부가 제도 모형을 만들어 기업의 인재양성기능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임지훈기자 jhlim@sedaily.com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