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硏, 수도권 주민 10명 중 6명 선형관광 경험…제주올레길 최다

수도권 주민 10명 중 6명이 걷기여행 등 ‘선(線)형관광’을 경험했고 앞으로 경기 도내 선형관광 개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선형관광은 도보, 자전거 등 무동력 이동수단으로 선형으로 연결된 자원을 관광하는 것을 의미한다.

13일 경기연구원이 지난달 30∼31일 수도권 주민을 대상으로 모바일 설문조사 한 결과 응답자의 58.5%가 선형관광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형관광 경험자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중복응답)에서는 가장 많이 찾은 유형으로 ‘도보길(78.3%)’을 가장 많이 꼽았고 ‘자전거길(53.3%)’, ‘레일바이크(50.3%)’, ‘카누·카약 등 물길(10.9%)’ 등의 순이었다.

관련기사



가장 많이 방문한 걷기여행길로 ‘제주도 올레길(71.3%)’, ‘북한산 둘레길(47.5%)’, ‘지리산 둘레길(24.1%)’, ‘경기도 DMZ평화누리길(김포·고양·파주·연천)(21.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선형관광의 중요한 매력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60.2%로 가장 높게 조사됐다.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관광지 환경은 ‘다양한 볼거리(역사 유적지, 자연/생태환경)(28.1%)’, 가장 중요한 시설은 ‘편의시설(화장실, 휴식공간, 매점 등)(39.6%)’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수진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국내에서 선형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한 노력으로 문화탐방로, 생태탐방로, 국토종주 자전거길, 지자체 명품 자전거길 등이 조성됐지만 편의시설 부족, 안전사고 등 문제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선형관광의 활성화 방안으로 종합 사후관리 시스템 구축, 교통연계 시스템 고도화, 선형관광자원 브랜드화, 네트워크 구축 및 파트너십 마련 등을 제안했다.

이 연구위원은 “경기도의 경우 강력한 관광 매력 물의 부재, 상대적으로 취약한 대중교통 접근성, 미약한 인지도 등은 다양한 정책 수립을 통해 해결해야 할 부분”이라며 “우수길 지정, 걷기의 해와 같은 이벤트 추진 등을 통해 종합적인 선형관광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