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문재인-안철수, 대선필승 3대 전략] 文 ① 중도층 외연 넓히기...安 ① '샤이 보수' 결집 막기

■문재인

② 安 단일화 차단

'적폐세력 청산' 프레임 공세

③ 심상정 표심 흡수

사표심리 역이용 좌파결집도

■안철수

② 학부모 민심 달래기

보육 공공성 강조 정면돌파

③ 최후의 카드 단일화

바른정당과 연대 반전 모색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의 지지율이 잠시 주춤하면서 양강 주자의 대결구도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대선이 24일 앞으로 성큼 다가오면서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와 안 후보의 수(數)싸움도 한층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대선 필승을 위한 두 후보의 3대 전력을 분석해봤다.

우선 전통 지지층 단속에 주력하던 문 후보는 최근 ‘중도층 외연 확장’에 적극 나서는 모습이다. 대다수 여론조사에서 안 후보를 아슬아슬한 차이로 앞서고 있지만 중원 싸움에서 밀린다면 결과는 언제든 뒤집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문 후보가 최근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도입에 대해 사실상 찬성 입장으로 선회한 것도 ‘안보관’을 중시하는 중도·보수 진영의 표심을 자극하기 위한 전략이다. 민주당이 당론으로 정한 법인세 인상을 문 후보가 세수 증대의 마지막 수단으로 제시한 것 역시 이와 유사한 맥락이라는 분석이다.

문 후보의 두 번째 전략은 ‘프레임 공격을 통한 안 후보의 단일화 차단’이다.


안 후보가 여전히 자강론을 고수하고 있음에도 문재인 캠프가 ‘적폐세력 청산’ 프레임으로 공세를 퍼붓고 있는 것은 결국 중도·보수 단일화를 막기 위한 사전 정지 작업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실제로 문 후보 측은 “적폐세력이 정권을 연장하기 위해 안 후보를 돕고 있다”며 연일 맹공을 가하고 있다.

관련기사



규모에 상관없이 어떤 식으로든 안 후보 중심의 단일화가 이뤄지면 보수 진영 표심의 쏠림현상이 탄력을 받으면서 안 후보의 막판 대역전극이 현실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문 후보 측은 단일화 시나리오를 완전히 배제하지 않은 채 좌파 결집을 통한 ‘심상정 후보(정의당) 표심 흡수’에도 주력하고 있다. 진보 유권자의 ‘사표 방지 심리’를 역이용해 승리의 가능성을 끌어올리겠다는 것이다.

이에 맞서 안철수 캠프의 움직임도 점점 분주해지고 있다. 전날 TV 토론회에서 안 후보가 두드러지는 활약을 보이지 못했을 뿐 아니라 4·12 재보궐선거를 기점으로 ‘샤이 보수’가 자유한국당을 중심으로 뭉칠 조짐을 보이고 있어서다. 안 후보는 이 같은 움직임이 확산되는 것을 막고 중도·보수 공략에 가속도를 붙여야 하는 과제를 떠안았다.

‘유치원 공약 발표’ 이후 부글부글 끓고 있는 학부모의 민심을 달래는 것도 필수다. 이를 의식한 듯 안 후보는 논란이 벌어진 지 사흘 만인 14일 ‘학부모와 함께하는 육아정책 간담회’를 열고 보육의 공공성을 강조하면서 정면 돌파를 시도했다. 안 후보는 이날 간담회에서 “공립 유치원 이용률을 40%로 확대하고 소득 하위 80% 가정에 아동수당을 월 10만원씩 지급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런 모든 노력이 신통한 결과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안 후보는 최후의 필승 카드로 단일화를 심각하게 고민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줄기차게 피력해온 원칙을 감안하면 단일화 대상은 자유한국당이 아닌 바른정당이 될 가능성이 높다. 정치권 관계자는 “안 후보로서는 바른정당과의 연대가 ‘원칙 손상’과 ‘호남 표 이탈’을 최소화하면서도 수권정당의 능력을 높이는 방안이 될 것”이라며 “현재의 지지율 격차가 유지되면 선거 막판에 안 후보가 중대 결심을 내릴 가능성도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나윤석·박형윤기자 nagija@sedaily.com

나윤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