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물류 효율 60% 업그레이드...이층 컨테이너 화차 나왔다

철도기술硏-CJ대한통운 공동개발

작업자가 리치 스태커를 사용해 40피트 짜라 컨테이너를 이 층으로 쌓고 있다. /사진=문병도기자작업자가 리치 스태커를 사용해 40피트 짜라 컨테이너를 이 층으로 쌓고 있다. /사진=문병도기자


지난 14일 부산 신항역 컨테이너 야드. 50톤을 들어 올리는 육중한 리치 스태커가 40피트 컨테이너를 들어 올려 다른 컨테이너 위에 쌓았다. 그러자 화차가 미끄러지듯 플랫폼을 빠져나간다. 화차는 부산 신항역 입구에 있는 녹산 터널을 여유 있게 통과한다.


화차에 컨테이너를 2층으로 실어서 운송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물류 효율을 60% 이상 끌어올릴 수 있어 획기적인 물류비 절감이 기대된다.

관련기사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은 이날 코레일, CJ대한통운과 공동으로 물류업계, 철도차량 및 부품 제작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고용량 이단 적재 화차 기술’을 공개했다. 이단 적재 화차는 컨테이너를 2층으로 적재할 수 있는 화물 열차다.

상용화를 위해 차체의 높이를 종전보다 41.6㎝ 낮은 70㎝로 제작했다. 또 일반 컨테이너(높이 2.59m)보다 낮은 컨테이너(높이 1.98m)를 사용했다. 컨테이너를 2층으로 쌓더라도 4.4 m에 불과하다. 일제 시대에 건설돼 가장 높이가 낮은 물금 터널(높이 4.7m)을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다. 핵심 기술은 바퀴 축이다. 늘어난 화물 무게를 견뎌야 하는 만큼 대차에 바퀴 축을 하나 더해 3개의 바퀴 축을 적용했다. 차체가 길어지고 무게중심이 높아졌지만, 주행 안정성은 오히려 종전 화차보다 개선됐다. 기존 화차는 2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대 분량)를 싣지만, 개발된 고용량 이단 적재 화차는 화차 1량당 6TEU까지 수송할 수 있다. /부산=문병도기자 do@sedaily.com

문병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