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北 김정은 능력 과소평가...객관적 판단 필요"

동용승 굿파머스연구소 소장

평화재단 주최 전문가포럼서

"김정은 10년 이상 국정 경험

권력 속성 간파한 점 기억해야"





“북한 김정은은 불안정하지 않습니다. 김정은의 능력에 대한 객관적이고 냉정한 평가에 기초해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동용승(사진) 굿파머스연구소 소장은 17일 평화재단이 세종문화회관에서 주최한 ‘미중 패권 경쟁과 한반도, 우리는 어떻게 돌고래가 될 것인가’라는 주제의 전문가 포럼에서 상대편 지도자를 지나치게 과소평가하면 승리하기 힘들다고 지적하며 이같이 말했다.


삼성경제연구소 경제안보팀장을 지낸 동 소장은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에 대해 ‘아래위도 모르고 경험도 미천하며 불안정하고 비이성적’이라고 판단하는 것은 서방식 기준이라고 꼬집었다.

관련기사



동 소장은 우선 “북한은 공화국이 아니라 김씨 봉건왕조이고 김정은은 절대 권력을 가진 ‘왕’이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며 “김정은은 나이에 비해 권력의 속성을 잘 알고 있고 10여년 이상의 (국정) 경험을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외부에서는 김정은 집권 5년을 ‘강압적이고 폭력적’이라고 평가하지만 북한 주민들의 생각은 다르다고 말했다. 김정은 정권이 핵 무력을 고도화하는 한편 시장활동에 대해 허용의 폭을 넓히면서 북한 주민들은 “나라가 외부의 위협을 핵으로 막아내니까 우리는 시장에서 알아서 살아가면 된다”는 말들을 한다고 동 소장은 전했다.

동 소장은 북한이 김정은의 이복형 김정남을 무리하게 암살했지만 결과적으로는 외교적 협상으로 김정남의 시신을 받아오고 말레이시아와의 관계를 정상화하는 등 나름대로 ‘깔끔하게’ 정리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그는 현재 김정은이 원하는 대로 미국과의 직접 담판 가능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며 이 같은 상황들로 미뤄 “김정은은 불안정하거나 비이성적이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런 판단을 근거로 동 소장은 “김정은을 좀 더 치밀하고 예민하게 다뤄야 한다”며 “김정은을 협상 상대로 인정하는 노력이 필요하고 (그를) 대화 테이블로 끌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