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뇌 초미세구조 관찰 기술 개발

성균관대 장재범 교수 연구팀

쥐 뇌의 작은 조각(세로 길이 0.17㎝)을 20배 인 3.4㎝로 확대한 모습. 이후 일반현미경으로 조직의 깊숙한 안쪽을 초고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다. /사진제공=성균관대쥐 뇌의 작은 조각(세로 길이 0.17㎝)을 20배 인 3.4㎝로 확대한 모습. 이후 일반현미경으로 조직의 깊숙한 안쪽을 초고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다. /사진제공=성균관대




국내 연구진이 뇌를 20배 이상 팽창시켜 뇌의 초미세구조를 관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어떻게 뇌가 작동하는지 이해하고 뇌 질환을 정복하는 데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


성균관대학교 성균융합원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의 장재범 교수 연구팀은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IT) 에드 보이든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뇌 및 장기를 20배 이상 팽창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관련기사



이 기술을 이용하면 일반 광학 현미경의 해상도를 열 배 이상 향상 시켜 20나노미터(nm·1nm는 10억분의 1m) 해상도를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또 20배 팽창 후에는 뇌 및 장기가 투명해져 일반 현미경으로도 조직의 깊숙한 안쪽을 초고해상도로 관찰할 수 있다. 이 기법은 뇌뿐만 아니라 현미경을 사용하는 모든 생물학 및 의학 분야에 널리 사용이 가능하다.

장재범 교수는 “이번 성과는 많은 사람들이 고통 받고 있는 뇌질환의 원인을 이해하고 그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라며 “뇌 연구뿐만 아니라 암 연구, 줄기 세포 연구, 혹은 신약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쓰일 것”으로 기대했다.

문병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