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종목·투자전략

발목 잡던 자회사 약진에 포스코 재평가 기대감 쑥

해외 철강 자회사 적자 축소

포스코건설은 흑자로 돌아서

증권가 목표주가 최고 40만원



저조한 실적으로 포스코의 발목을 잡던 자회사들이 미운 오리에서 백조로 거듭나고 있다. 자회사들의 실적 개선을 바탕으로 포스코의 주가 재평가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포스코의 올 1·4분기 영업이익은 1조3,65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06.9% 증가했다. 이는 지난 3월30일 최고경영자(CEO) 간담회 때 발표한 잠정치보다 13.8% 늘어난 수준이다. 특히 이번 실적 개선은 최근 2년간 포스코의 발목을 잡아온 해외 철강 자회사와 포스코건설 등 연결 자회사가 이끌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연결 영업이익에서 별도 영업이익을 차감한 자회사 합계 영업이익은 5,700억원 수준으로 2010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배은영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인도네시아 크라카타우 등 해외 철강 자회사의 적자 폭 축소가 지속되고 있다”며 “일회성 비용 반영으로 지난해 영업적자를 기록했던 포스코건설 역시 이미 올 1·4분기에 흑자 전환에 성공해 실적 정상화에 대한 신뢰를 높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포스코의 주가도 재평가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문선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 2년간 자회사 실적이 자기자본이익률(ROE) 상승을 저해했다면 올해는 상승요인이 될 것”이라며 “지속 가능성은 아직 확신할 수 없지만 약점이 강점으로 극적으로 전환된 것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 연구원은 올해 포스코 ROE 전망을 6.7%에서 7.1%로 0.4%포인트 높였다.

관련기사



다만 아직 주가는 중국 철강 가격 하락에 영향을 받아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날 포스코는 2.06% 떨어진 26만1,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올 3월21일 기록한 52주 신고가 대비 12% 하락한 상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막연히 철강 시황 악화를 우려하기보다 지금을 매수 시점으로 판단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박광래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인프라 투자를 통한 중국 정부의 경기 부양책이 올 하반기부터 중국 내 철강 수요를 이끌 것으로 전망된다”며 “하반기부터는 철강산업 수급 밸런스 개선에 대한 기대감으로 가격도 반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증권사가 제시한 포스코의 목표주가는 평균 36만원이다. 박 연구원은 “올해 예상 ROE 대비 현재 주가순자산비율(PBR) 0.5배로 밸류에이션 매력이 있다”며 “배당수익률도 3%로 높아 큰 폭의 추가 하락은 제한적”이라고 설명했다.

박민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