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중기 '절반' 대선날도 출근…황금연휴 '그림의 떡'

납품기일 준수·매출타격 등 이유



중소 제조업체의 절반 정도는 5월 9일 대통령 선거일에도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 근로자들은 5월 초 징검다리 연휴를 맞아 ‘황금연휴’를 즐기는 사이 중소 제조업체 상당수는 임시 공휴일로 지정된 이 날도 정상 근무를 할 것으로 보인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 17~20일 25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4%만이 공휴일 사이에 낀 5월 2, 4, 8일 중 1일 이상 임시 휴무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임시 휴무 계획이 없는 기업은 30.4%, 아직 휴무 여부를 결정하지 못한 기업은 15.6%였다.


선거일 등 연휴 기간 근무 예정인 중소기업들은 ‘납품기일 준수’(33.3%)와 ‘일시가동 중단으로 인한 생산량, 매출액 타격’(29.2%) 등을 이유로 꼽았다.

관련기사



휴무를 계획하고 있는 중소제조업체의 54.8%는 1일, 37%는 2일, 8.2%는 3일 휴무하겠다고 답해 평균 휴무일수는 1.5일로 나타났다. 이들 중 ‘유급으로 회사 전체 휴무’를 결정한 곳은 45.9%, ‘근로자별 연차활용’으로 휴무를 결정한 곳은 37.8%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 휴무를 선택한 이유로 ‘업체 특성상 징검다리 연휴 기간 근무의 실효성이 미미하다’를 꼽은 응답이 42.2%, ‘직원 사기 진작’을 꼽은 응답이 35.2%로 조사됐다.

김경만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5월 초 ‘황금연휴’에 대한 사회 전반적 기대감이 커지고 있지만 정작 중소기업은 상당수 납품기일 준수를 위해 휴무하기 어렵다”며 “대기업의 납품기한 연장 등을 통해 중소기업 근로자도 함께 연휴에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 확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수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