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IT·의사 일자리 늘고 교사·단순사무직 준다

한국고용정보원, 향후 10년 일자리 전망



앞으로 10년간 4차 산업혁명·저출산·고령화 등의 영향으로 응용소프트웨어개발자·의사·사회복지사 등의 일자리가 늘어날 전망이다.

한국고용정보원은 195개 대표 직업의 10년간(2016~2025년) 일자리 전망을 수록한 ‘2017 한국직업전망’을 24일 발간했다. 이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으로 사물인터넷 제품·웨어러블 디바이스·자율주행차·가상현실·모바일 등 신산업 기술·제품 개발 및 서비스를 담당하는 정보기술(IT) 직종과 관련 기술직 및 전문가의 고용 성장이 전망된다. 해당 직종은 응용소프트웨어개발자, 네트워크시스템개발자, 컴퓨터보안전문가, 시스템소프트웨어개발자, 전기·전자공학기술자, 기계공학기술자, 통신공학기술자, 멀티미디어디자이너, 제품디자이너 등이다.


반면 핀테크·인터넷전문은행 등의 확산으로 출납창구사무원 등 단순사무직 및 외환딜러 등 일부 전문직 일자리는 줄어들 것으로 관측된다. 생산설비의 기계화 및 자동화, 산업용 로봇 확산에 따라 주조원, 단조원, 판금원 및 제관원 등의 일자리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고령화 및 저출산으로 인한 급속한 인구 구조 변화는 의료·복지 분야 직업의 고용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대표 일자리는 의사, 치과의사, 간호사, 물리 및 작업치료사, 응급구조사, 임상심리사, 사회복지사, 간병인 등이다. 하지만 저출산 및 학령인구 감소로 교사의 일자리도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또 농어촌인구의 고령화 등으로 작물재배종사자와 어업종사자의 수도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국고용정보원은 향후 직업세계에서 나타날 7대 변화 트렌드로 △4차 산업혁명 선도 기술직의 고용증가 △4차 산업혁명으로 핵심인재 중심의 인력재편 가속화 △기계화·자동화로 대체가능한 직업의 고용감소 △고령화·저출산 등으로 의료·복지 직업의 고용증가 △경제성장과 글로벌화에 따른 사업서비스 전문직의 고용증가 △안전의식 강화로 안전 관련 직종의 고용증가 △ICT 융합에 따른 직업역량 변화를 제시했다.

‘2017 한국직업전망’은 취업포털 워크넷(www.work.go.kr)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김동규 한국고용정보원 미래직업연구팀장은 “4차 산업혁명으로 직업 간에 희비가 엇갈릴 것”이라면서도 “변화하는 기술 및 환경변화에 대응해 지속적으로 직업능력 개발에 힘쓰는 사람은 직업세계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건재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임지훈기자 jhlim@sedaily.com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