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서울경제TV] 베트남 진출 국내 증권사 절반이 적자

신한금융투자 베트남 법인 작년 적자 전년比 3배↑

NH證 베트남 자회사 1억6,300만원 손실… 적자 전환

시스템 낙후에 시장 작아 수익 구조 다양화 어려워

주식담보대출 못 갚아도 주식 반납으로 증권사 손해

유동성 낮아 반대매매 어려워… 손해 본 증권사도



[앵커]

국내 대형 증권사들이 새로운 수익원을 발굴하기 위해 신흥국으로 주목받는 베트남에 진출했지만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기회의 땅이라는 수식이가 무색하게 베트남에 국내 대형 증권사 4곳 중 두 곳이 적자를 기록한 것인데요. 신한금융투자는 베트남법인 적자 폭이 세 배로 늘었습니다. 김성훈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베트남 현지법인을 운영하고 있는 자기자본 3조원 이상 대형 증권사 4곳 중 미래에셋대우와 한국투자증권만이 흑자를 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래에셋대우의 지난해 베트남 법인 당기순이익은 14억8,500만원으로 2015년 2억8,400만원에 비해 5배 이상 늘었고 영업수익도 전년 19억원에서 45억원으로 많이 증가했습니다.

한국투자증권의 경우 영업수익은 133억원으로 지난해에 비해 50% 가까이 급증했지만 베트남에 신규 영업소 2개를 설립하는 등 비용 증가로 당기순이익은 지난해의 절반에 그쳤습니다.


문제는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신한금융투자와 NH투자증권입니다.

관련기사



신한금융투자의 경우 2015년 2억 4,100만원에서 지난해 8억8,000만원으로 적자 폭이 세 배 넘게 증가했습니다.

NH투자증권 베트남 자회사도 지난해 1억6,300만원의 손실을 내며 적자 전환했습니다.

두 곳 모두 지난해의 적자에 대해 초기 투자 비용이라고 설명하며 꾸준히 투자와 영업을 이어갈 것이라고 설명했지만 일각에서는 베트남 시장에 대한 회의적인 목소리도 나옵니다.

베트남의 경우 금융시스템 발전이 덜 된 상태이고 기업금융이나 채권 중개 사업 등은 시장 규모가 너무 작기 때문에 다양한 수익구조를 만들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또 현재 베트남에 진출한 증권사들이 주력으로 삼고 있는 주식담보대출의 경우 대출금을 못 갚아도 주식을 반납해버리면 이용자의 부채로 남지 않고 증권사의 손실이 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베트남 증시는 아직 유동성이 낮아 반대매매도 쉽지 않기 때문에 지난해 일부 증권사에서 실제로 주식담보대출로 인한 손실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영상편집 소혜영]

김성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