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코리아 패싱, 생소한 단어 두고 누리꾼들 '설왕설래'

코리아 패싱, 생소한 단어 두고 누리꾼들 ‘설왕설래’코리아 패싱, 생소한 단어 두고 누리꾼들 ‘설왕설래’




‘코리아 패싱’(Korea passing, 한국 건너뛰기)이란 단어가 누리꾼의 관심을 받고 있다.

지난 25일 방영된 JTBC 대선주자 토론회에서 북핵문제를 토론하던 중 유승민 바른정당 대선후보가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에게 “‘코리아 패싱’이라고 아십니까”라고 질문했다. 문 후보는 “무슨 말씀이십니까? 모르겠습니다”라고 답변했다.


많은 이들에게 생소할 ‘코리아 패싱’이란 단어는 북핵문제를 둘러싼 미국·중국·일본이 국제적 논의를 주도하며 한국이 소외되는 현상을 가리키는 말이다. 과거 1990년대 후반 미·중 관계가 강화하며 일본 내에서 거론된 ‘재팬 패싱’(Japan passing, 일본 건너뛰기)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일본 내에서 사용된 표현이라 국내에서는 생소한 단어다.

관련기사



또 유 후보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 중요한 문제(북핵 문제)를 논의하면서 아베 총리, 시진핑 주석과는 통화하면서 황교안 권한대행에게는 전화 한통 하지 않았다”며 “사드는 반대하면서 한·미동맹을 어떻게 굳건히 지키겠느냐”고 문 후보를 추궁했다. 이에 문 후보는 “미국이 무시할 수 있는 나라를 누가 만들었습니까. 미국의 주장에는 추종만 하니까 그런 것 아니냐. 부끄러워하셔야죠”라고 답했다.

토론 후 누리꾼들은 “새누리당 9년동안 코리아패싱하게 만들고 입보수질 쩌네 지가 박근혜 뽑아달라고 선봉에서서 뽑아주니 이제 남탓,”“일본애들이 만든 브로큰 잉글리쉬로 말하면 유식한거니? ‘동북아외교한국소외현상’이라고 우리말로 해라!”,“오... 친일파 짬바... 일본내에서 거론 된 표현인데 ㅋㅋㅋㅋ 일본을 어쩜 그렇게 잘 아실까 ㅋㅋ” 등의 반응을 보였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김상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