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사드, 작전배치 하루만에 실전운용…美, 왜 서두르나

26일 경북 성주군 성주골프장에 전격배치된 사드/연합뉴스26일 경북 성주군 성주골프장에 전격배치된 사드/연합뉴스


주한미군이 경북 성주에 배치한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를 하루 만에 작전배치하고 사실상 실전 운용상태로 유지하기로 했다. 이는 북한의 고도화된 핵과 미사일 위협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은 27일 정례브리핑에서 ‘성주에 배치한 사드를 시범운용이 아닌 실제로 바로 운용하는 것이냐’는 질문에 “실제 운용”이라며 “한미가 일부 사드 전력을 배치한 것은 이제 북한이 도발하면 대응할 수 있는 그런 능력을 갖춘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미군이 다음 달 9일 실시되는 대선 이전에 사드체계를 시험 가동할 것이란 전망을 내놓았지만, 시험가동 없이 바로 실전운용에 들어간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야전 운용도 환경영향평가 없이 가능하냐’라는 질문에 문 대변인은 “그렇게 이해하면 된다”고 말했다. 이어 “발사대 일부와 교전통제소, 레이더가 배치돼 있어 이를 연결해서 초기작전운용 능력을 구비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같은 국방부의 설명은 미국 태평양사령관의 발언과도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26일(현지시간) 태평양사령부 해리 해리스 사령관은 미 하원 군사위 청문회에 출석해 성주골프장에 배치된 “사드가 곧 가동에 들어간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의 점증하는 위협에 대해 한국을 더 잘 방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곧’이라는 표현은 수일 내라는 의미가 강하지만, 사실상 배치 직후부터 실전운용에 돌입한다는 것을 우회적으로 말한 것이란 해석이 많다.


미군이 이처럼 사드의 실전운용을 서두른 것에 대해 중국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방어 등 여러 관측이 나오나, 무엇보다 고도화되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해서는 한미가 인식을 공유하는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렉스 틸러슨 국무·제임스 매티스 국방 장관과 댄 코츠 미국 국가정보국(DNI) 국장은 이날 백악관에서 상원의원 전원을 대상으로 한 대북 브리핑을 마치고 낸 합동성명에서 “북한의 불법 무기 프로그램과 핵·탄도미사일 시험 발사를 중단시키기 위한 과거의 노력은 실패했다”면서 “북한의 핵무기 추구는 국가 안보에 대한 긴급한 위협이고 외교정책의 최우선 순위”라고 강조했다. 북한의 핵무기 수준이 미국을 위협하는 단계에까지 도달했다는 것이다. 북한은 핵탄두를 미국 본토까지 실어갈 수 있는 ICBM을 개발 중이다.

뉴욕타임스(NYT)는 24일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이 6~7주에 한 개씩 핵폭탄을 만들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고 전했다. 앞으로 4~5년 안에 북한이 미국 본토를 타격할 수준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라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트럼프 대통령의 임기 내인 2020년까지 ICBM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고 전하기도 했다.

한편, 현재 우리나라에는 사드 발사대 6기가 반입돼 이 가운데 2기가 지난 26일 성주골프장에 배치됐다. 나머지 4기도 대선 이전에 배치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민제 인턴기자 summerbreeze@sedaily.com

김민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