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4차 산업혁명, 내 일자리 위협받을까? 빈부 격차는? '그렇다'

국민 약 10명 중 9명은 4차 산업혁명시대에 인공지능(AI) 등으로 일자리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4명 중 3명 이상은 자신의 일자리마저 위협받을 것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는 이달 18∼21일 20∼50대 남녀 1천4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3.0%포인트)한 결과, ‘4차 산업혁명으로 전체적인 일자리가 줄어들 것’이라는 항목에 89.9%가 동의했다고 27일 전했다.


‘4차 산업혁명으로 빈부 격차가 심해질 것’이라는 항목에는 85.3%가 ‘그렇다’고 말했다.

특히 응답자의 76.5%는 ‘4차 산업혁명은 내 일자리를 위협할 것’이라고 생각했고, ‘자녀나 다음 세대의 일자리를 줄일 것’이라는 데 동의한 응답자는 83.4%로 더 많은 것으로 전해졌다.

4차 산업혁명이 내 일자리를 위협할 것이라는 질문에 동의한 비율은 1년 전 같은 조사 때의 52.2%보다 무려 24.3%포인트 늘어났다.


4차 산업혁명의 일자리 위협에 대한 불안감은 학력이 낮고 경제적으로 어렵다고 인식하는 층에서 더 큰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학력별로는 고졸 이하 81.1%, 대졸 77.3%, 대학원 재학 이상 66.7%, 경제 계층별로는 하층 81.7%, 중간층 72.5%, 상층 69.3%가 4차 산업혁명으로 자신의 직업에 대한 위협을 느낀다고 밝혔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일자리 감소가 전망되는 직업군(복수응답)으로는 제조업 63.7%, 은행원 41.2%, 사무직 29.0%, 판매사원 25.4%, 택배기사 22.9%, 농업 20.7%, 택시기사 17.1% 등의 순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응답자의 82.6%가 ‘인류에게 혜택을 줄 것’, 82.4%는 ‘경제 신성장 동력이 될 것’, 73.6%는 ‘복지제도의 중요성이 커질 것’이라고 답하는 등 긍정적인 기대감도 큰 것으로 전해졌다.

응답자들은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비해 가장 필요한 교육 영역으로 창의력 교육 (31.3%), 컴퓨터공학(26.1%), 공학(18.2%), 인문학(11.0%) 등을 많이 선택했다.

정부정책으로는 초·중·고 교육혁신(23.6%), 실업대책 및 복지정책(21.6%), 신기술 개발 지원(19.7%) 등이 필요하다는 답변이 다수로 전해졌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