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환경호르몬 프탈레이트, 어린이 지능·주의력 떨어뜨려

서울대 홍윤철·김붕년·김인향 교수팀

6세아 소변서 10㎍/gCr 더 검출될수록

IQ 평균 9점대·주의력 점수 20점 안팎↓

기준치를 훨씬 웃도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사용했다가 정부의 안전성 조사에서 적발된 유아용 자전거, 의류, 신발, 완구, 스케이트보드, 모자.     /사진=산업통상자원부기준치를 훨씬 웃도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사용했다가 정부의 안전성 조사에서 적발된 유아용 자전거, 의류, 신발, 완구, 스케이트보드, 모자.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완구·의류·플라스틱 음식용기나 의료용품 등에 들어있는 환경호르몬인 프탈레이트에 많이 노출된 어린이는 지능과 주의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탈레이트는 플라스틱, 특히 폴리염화비닐(PVC)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화학성분으로 앞선 동물실험 연구에선 뇌의 도파민 신경세포 퇴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홍윤철·김붕년(서울의대), 김인향(분당서울대병원) 교수팀은 2008~2011년 소변·혈액검사를 한 산모 175명이 낳은 아이가 6세가 된 2015~2017년 인지기능·소변검사를 한 결과 이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28일 밝혔다.


연구결과 프탈레이트가 사람의 몸에 들어가면 생성되는 세 가지 대사물질 가운데 모노 2-에틸-5-하이드록시헥실 프탈레이트(MEHHP), 모노 2-에틸-5-옥소헥실 프탈레이트(MEOHP)가 아이의 소변에서 많이 검출될수록 지능(IQ)·주의력 점수가 낮았다.

관련기사



MEHHP와 MEOHP의 소변 검출량이 10㎍/gCr(프탈레이트 대사체 측정단위) 증가할 때마다 IQ 점수는 평균 9.27점, 9.83점 떨어졌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측정도구로 매긴 주의력 점수도 평균 20.36점, 18.93점 하락했다.

이런 결과는 사회경제적 요인, 어머니의 지능 등 다른 외부 요인을 보정해도 마찬가지였다.

홍 교수는 “프탈레이트는 갑상선 호르몬의 생성을 방해하고 뇌 발달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물질”이라며 “특히 6세 미만 영유아는 환경적 요인에 취약한 시기이므로 환경호르몬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인향 교수는 “프탈레이트가 인지기능 저하의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이 확인된 만큼 국가 차원에서 노출을 줄이기 위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최근 국제학술지 ‘환경연구와 공중보건’(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온라인판에 발표됐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