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어른들은 몰라요' 어린이들이 말하는 복지? "행복감 최하위권"

/사진=이미지투데이/사진=이미지투데이


5월 5일 어린이 날을 앞두고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은 과연 어떤 생각을 하고 있을까. 놀랍게도 대한민국 초등학교 3학년들의 생각은 지극히 현실적인 반응이었다. 물질적 상황은 최상위권인데 비해 ‘행복감’은 최하위권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국제구호개발 NGO 세이브더칠드런과 서울대 사회복지연구소는 1일 이와 같은 내용이 담긴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행복감 국제 비교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알제리, 콜롬비아, 영국, 에스토니아, 독일, 에티오피아 등 16개국 나라의 만 8살, 10살, 12살 등 총 5만 6,000명을 조사한 자료에서 만 8살 1만 7,496명을 추출해 심층 분석했다.

그 결과 한국 아동의 행복감은 에티오피아(16위), 네팔(15위)에 이어 16개국 중 14위로 최하위 수준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시간 사용 항목에서 한국 아동의 경우, 방과후 교육(3위)에는 많은 시간을 할애했지만 가족과 함께 대화하는 시간(16위), 가족과 함께 놀기(16위), 가족과 함께 공부하기(14위) 등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은 모두 최하위였다. 학교에서도 아동의 행복 수준은 바닥이었다. 학교 성적 만족도나 선생님과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 역시 꼴찌였고, ‘선생님에게 존중받는다’(14위), ‘공평한 대우를 받는다(14위), ’학교 가는 것이 좋다‘(15위) 등 질문에 대한 응답에서 최하위를 나타냈다. 옷, 컴퓨터, 인터넷, 자동차 등이 있는지 묻는 조사에서는 최상위(1위)로 나타났는데도 가지고 있는 돈 또는 물건에 대해 ’얼마나 행복한가‘를 묻는 만족도에서는 14위에 그쳤다.

관련기사



아동들은 초등학교 3학년에서 중학교 1학년으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더 낮은 행복감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친구관계, 학교생활, 동네, 자기 자신 등 5개 영역 만족도만 측정했을 때 만 8살에 13위이던 아동의 만족도는 중학교 1학년 나이인 14세가 되자 아예 꼴찌로 떨어졌다. 가족생활 만족도는 초3에서 중1로 올라가며 유지되는 반면, 동네와 학교 생활만족도가 감소하고 외모 등 자기 만족도가 크게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연구를 총괄한 이봉주 서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물질적인 지표에서는 국제적으로 최상위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아동 스스로가 느끼는 행복감이 하위권”이라며 “아동들을 둘러싼 사회환경의 변화를 추구해야 아동 행복도를 높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가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