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FORTUNE FOCUS|그는 어떻게 거물이 됐나?

BEFORE HE WAS A SHRK

이 기사는 포춘코리아 2017년 4월호에 실린 기사입니다.


로버트 헤이야비치 Robert Herjavec의 인생 역정-가난한 이민자에서부터 기업가, 리얼리티 TV쇼 스타까지-은 결코 순탄치가 않았다.

로버트 헤이야비치(54)는 이민자였기 때문에 빨리 철이 들었다. 그의 가족은 크로아티아에서 캐나다로 이민을 왔다. 당시 그의 부모는 아파트 계약조건을 읽는 것도 열 살짜리 꼬마에게 의지할 정도로 영어에 서툴렀다. 그는 기술 기업에 몸 담은 뒤 본인 소유의 벤처기업을 시작했다. 사이버 보안업체 헤이야비치 그룹 Herjavec Group은 2015년 1억 3,000만 달러 매출을 올렸다. 헤이야비치는 최근 TV쇼 샤크 탱크 Shark Tank와 댄싱 위드 더 스타 Dancing With the Stars에 출연해 유명세를 타기도 했다. 그의 사연을 들어보자.




나는 크로아티아 출신이다.
아버지는 자신이 정치범이라고 말하곤 했다. 그는 술을 많이 마셨고, 공산주의를 자주 비판했고, ‘반공산주의자’라는 죄명으로 22번이나 감옥에 갔다. 아버지는1970년 감옥에서 탈출, 어머니와 나를 데리고 도망을 쳤다. 그렇게 우리는 크로아티아를 떠나왔다. 당시 나는 여덟 살이었다.

우리는 당초 미국으로 이민을 갈 계획이었지만, 이민 서류가 거절을 당했다. 이미 우리 가족이 거기에 살고 있어서 그런지 몰라도 다행히 캐나다가 우리를 받아주었다. 현지에 도착했을 때, 우리가 가진 것이라곤 달랑 여행가방 한 개와 단돈 20달러였다. 우리는 토론토에 사는 어머니의 친구를 찾아가 그 집 지하에서 18개월을 살았다. 그 후 방이 3개 딸린 아파트로 이사했다. 당시 부모님과 나는 영어를 전혀하지 못했다. 지금 생각해도 참 고통스럽고 어려웠던 시기였다. 부모님은 내게 많이 의지를 했다. 아파트 계약 당시 나는 열 살이었는데, 부모님을 위해 계약 조건을 대신 읽어드려야 했다. 작은 집을 샀던 열 세 살 때에도 융자 받는 일을 도와드렸다. 이민자에게 ‘어디에서 사는가’라는 문제는 정말 중요하다. 빈털터리로 시작한 사람만이 집의 소중함을 안다.

아버지는 공장에서 일했고, 나는 반에서 가장 가난한 학생이었다. 생김새가 다르다는 이유 때문에 사람들은 나를 놀렸다. 이런 경험 덕분에 나는 철이 빨리 들 수 밖에 없었고, 더 잘살아야겠다는 열망을 끊임없이 키워갈 수 있었다. 이를 악 물고 한 다짐은 결코 사라지지 않았다.

나는 토론토 대학교(The University of Toronto)에 입학했고, 졸업 후 1984년 방송국에 취직을 했다. 당시 방송국이 ‘제14회 사라예보 동계올림픽’ 중계에 필요한 세르보-크로아티아어 *역주: 유고슬라비아에서 사용되는 슬라브계의 말 를 할 줄 아는 사람을 찾고 있었다. 나는 세르보-크로아티아어를 할 수 있었기 때문에 필드 프로듀서 *역주: 현장팀을 관리하는 프로듀서로 일할 수 있었다. 어떤 일을 하는지 개념도 없었지만, 어쨌든 무난히 업무를 처리했다.

그 후 나는 굉장히 거만해졌다. 캐나다로 돌아왔을 땐 최고의 영화감독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그러다 조감독이 된 후 세 번째 작품인 ‘빌리 잭의 귀환(TheReturn of Billy Jack)’이라는 영화에 참여했을 때, 엔터테인먼트 업계에 대한 회의감이 들었다. 그러던 어느 날 한 친구로부터 연봉 3만 달러를 주는 기술 기업 입사에 실패했다는 말을 들었다. 1985년 당시 3만 달러는 굉장히 큰 돈이었기 때문에 나는 인터뷰를 해보기로 결심을 했다.

그 후 나는 로지퀘스트 Logiquest라는 신생기업에서 IBM 메인프레임 에뮬레이션 보드 *역주: IBM 대형컴퓨터용 호환 시스템 기판 를 판매하는 업무를 하게 되었다. 사업이나 컴퓨터에 대한 지식은 전무했지만, 나를 고용하도록 회사 창업자를 설득하는 데에는 성공할 수 있었다. 그러다 직무에 큰 재미를 느끼게 되었다. 여러 기기들을 다루는 것도, 변화를 꾀할 수 있는 것도 즐거웠다. 활발한 성격 덕분에 직무도 잘 수행할 수 있었다. 복잡한 개념들을 배우고, 기술에 문외한인 사람들에게 판매를 잘 하는 방법도 터득해나갔다. 결국 20대에 로지퀘스트 사장 자리까지 오를 수 있었다. 나는 경영이 참 즐거웠다. 사업 운영의 작은 부분 하나 하나가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그러다 한 남성과 사업을 시작했는데, 일이 잘 풀리지 않았다. 그래서 1990년 브라크 시스템스 BRAK Systems를 설립했다. 우리는 다른 이들의 기술을 결합해 회사 창업을 지원하는 통합자 역할을 수행했다. 선 Sun과 IBM 같은 대기업과도 경쟁을 했다. 중소업체에 머물지 않을 수 있는 방법을 터득 하는 것이 가장 어려운 일이었다. 대기업 기술자를 영입하려면 그들에게 확신을 주어야 했다. 나는 사람들이 단지 ‘어딘가’에서 일하길 원하지 않는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사람들은 ‘중요한 무언가’의 일원이 되고 싶어한다. 또 자신들을 관리하는 리더보다 이끌어주는 리더를 원한다. 내가 즐거운 회사를 만들자 그들은 스스로 우리를 찾아왔다.

회사가 성장하면서 두 번째 융자를 받아야 했다. 나는 신용카드를 사용해 사업을 확장했다. 사람들은 흔히들 ‘자신부터 챙기라’는 말을 하지만, 사업체는 ‘살아있는 조직’이기 때문에 나는 직원들부터 챙겼다. 그래서인지 우린 좋은 수익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당시 인터넷 기업의 가치평가는 상한가를 치고 있었다. 우리 회사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었다. 2000년엔 ‘AT&T 캐나다’가 브라크 시스템스 인수조건으로 3,020만 달러라는 엄청난 금액을 제시했다. 그래서 나는 회사를 그들에게 팔았다.

그 후 아내가 복직을 원해 나는 집에서 아이들을 돌봤다. 그때가 가장 행복한 시기였다. 그러나 이내 회사를 다시 운영하고 싶어졌다. 그래서2003년 2만 달러를 투입해 과거 동료 몇 명과 함께 헤이야비치 그룹을 설립했다. 그 때 우리는 새로운 시도를 많이 했다. 하지만 대부분 실패했다. 당시 우리는 다른 회사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 고객들에게 기술을 팔려고 했다. 그 때 나는 교훈 하나를 얻얻다. 사람들은 ‘좋을 수도 있는 무언가’를 위해 ‘이미 충분히 좋은 것’을 포기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우리는 기술을 팔기 시작했고, 스팸 방지 프로그램 판매 선발 주자들 중 한 곳이 될 수 있었다.

그렇게 2007년이 되었다. 우리는 단순히 물건을 파는 것보단 보안관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더 큰 사업 기회라고 판단하고 이 분야에 뛰어들었다. 회사 규모는 커져갔지만, 판매는 캐나다에 국한되어 있었다. 그래서 2년 반 전, 미국으로 사업을 확장했다. 영국에 있는 기업을 사서 호주로 이전을 하기도 했다. 현재 우리 회사 매출 중 35%는 캐나다 이외 지역에서 나오고 있다.

데이터는 현대식 무기다. 누군가를 100% 보호한다는 건 불가능한 일이다. 이 같은 현대전에선 반응시간이 중요하다. 우리는 데이터가 유출되는 그 순간을 포착하고 싶었다. 우리 회사는 외국 정부가 미국 기업에 자행하는 데이터 유출 같은 일이나 랜섬웨어 *역주: 시스템에 침투해 중요 파일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고 금품을 요구하는 악성프로그램 공격을 받은 병원의 데이터를 복원하는 일 등을 해왔다.

내 리더십 스타일은 영감과 힘을 불어넣는 것이지만, 필요할 땐 독재적인 방식을 취하기도 한다. 98%의 경우, 나는 함께 일하기 좋은 사람이다. 그러나 나머지 2%의 경우엔 내 주장대로 밀어붙일 때도 있다. 기술업계에는 결정을 망설이거나 위원회의 의사결정 과정을 거칠 시간적 여유가 없다. 어떤 결정을 내리고 책임을 져야 하는지가 항상 분명하다.

현재 우리 회사에는 300여명의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다. ‘항상 더 잘하자’라는 것이 우리의 사내 문화다. 이 같은 경쟁적인 마인드는 나 자신의 창업가 정신에서 확장된 것이다. 누군가의 삶을 더 좋게 만들려는 열정은 단순한 아메리칸 드림이 아니라 모든 이들의 공통적 바람이다. 나는 사무실 문에 붙어 있는 내 이름을 볼 때마다 엄청난 자부심을 느끼고 있다.




기업의 사이버 보안 역량 강화법
로버트 헤이야비치 ROBERT HERJAVEC / 헤이야비치 그룹 Herjavec Group

● 네트워크 상태를 파악하라
대부분의 데이터 유출은 장시간에 걸쳐 이뤄진다. 해커들은 시스템에 침투, 네트워크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한동안 그곳을 헤짚고 다닌다. 당신이 알아차렸을 땐, 데이터가 이미 몽땅 빠져나간 후이다.

● 로그 관리는 필수다
컴퓨터 키보드를 두드릴 때마다 전자 지문이 만들어진다. 사물 인터넷을 이용하면 엄청난 양의 데이터가 생성된다. 우리 회사는 매일 1,000억 개 이상의 로그를 감시하고 있다. 한 곳에서 로그 기록의 상호연관성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라.

● 매년 외부 감사를 실시하라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 분석을 적용하고, 그 과정에서 제3자가 개입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하라. 사내 담당 팀에게만 의존하지 말고, 외부업체를 통해 객관적인 평가를 받아라.


관련기사



서울경제 포춘코리아 편집부 / by DINAH ENG

DINAH ENG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