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황금연휴, 어디로가지?…'숙박여지도' 살펴보니

호텔·리조트 등 전국 5만 개 숙소로 본 '숙박여지도'

숙박요금, 비수기 대비 34~100% 올라

호텔은 '서울', 한옥은 '전라도', 캠핑은 '경기도'에 몰려

◇숙박 유형별 요금분포도(각 유형 평균) 단위:원

구분 모텔 호텔 리조트 펜션 게스트하우스 캠핑/글램핑 한옥
비수기
(3~4월)
3만5,000 8만5,000 11만 8만3,000 2만9,000 5만6,000 7만6,000
성수기
(7~8월)
7만 12만1,000 15만2,000 15만2,000 3만9,000 8만4,000 10만2,000
상승률 100% 42% 38% 83% 34% 50% 34%



◇숙박 유형별 지역 점유율

호텔 서울(33.2%)
리조트 제주(35%)
펜션 경기(24.2%)
게스트하우스 서울(28%)
캠핑글램핑 경기(31.7%)
모텔 경상도(21.6%)
한옥 전라도(56.7%)


모처럼 찾아온 황금연휴. 좋은 날씨에 집에 있자니 억울하고, 밖에 나가자니 북적이는 인파와 치솟은 여행 물가에 머리가 아파온다.

숙소를 구하는 일은 특히 어렵다. 이미 일찌감치 예약이 꽉 찼거나, 터무니 없이 부르는 바가지 요금에 분노가 치밀어 오른다.

이에 서울경제신문은 종합 숙박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여기어때와 함께 서울·강원·부산·제주도 등 전국 17개 지역 5만 개 숙소(모텔·호텔·리조트·펜션·캠핑·한옥 등)의 이용행태를 모아 ‘대한민국 숙박여지도’를 만들어봤다.


우선 성수기 숙박요금은 비수기 대비 최대 2배 수준까지 오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형호텔로 불리는 ‘모텔’이 비성수기(3~4월) 평균 3만5,000원에서 성수기(7~8월) 7만원까지 100% 올랐고, 펜션은 평균 8만3,000원에서 15만2,000원으로 83% 가량 오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캠핑·글램핑(50%↑), 호텔(42%↑), 리조트(38%↑)가 뒤를 이었다.

관련기사



여기어때 관계자는 “5월 첫째주 근로자의날, 석가탄신일, 어린이날로 이어지는 황금연휴로 요금 증가현상이 일어나고 있다”며 “성수기 숙박요금 상승률은 이번 연휴의 숙박비 증가폭을 가믄해볼 수 있는 수치”라고 설명했다. 숙소가 많이 밀집된 지역은 단연 수도권이었다. 경기도가 전체의 17.7%로 가장 많았고, 서울이 12.6%로 2위를 기록했다. 강원도는 9.7%, 경남 지역과 제주도 지역은 각각 8.2%와 7.4%를 차지했다.

그렇다면 어느 지역에 어떤 유형의 숙박 업소가 가장 많이 위치했을까.

전국에서 호텔이 가장 많은 곳은 서울(33.2%)이었다. 호텔을 주로 이용하는 소비자 층으로는 30대 여성 회원으로, 전체 회원의 25.80%에 달했다.

펜션과 캠핑·글램핑은 경기지역에 가장 많았다. 전국 팬션 중 24.2%가 경기지역에 있었으며 주 고객층은 20대 남자(30%)였다. 캠핑·글램핑도 31.7%가 경기에 있었다. 예약자 중 40.20%가 30대 남성이었다.

이외에 전국 한옥의 절반 이상(56.7%)이 전라도에 위치해 있었고, 모텔은 경남, 대구, 경북, 울산 등 경상도 지역에 21.6%가 몰려있었다.

이번 숙박여지도는 모텔 2만3,700곳, 호텔 5,080곳, 리조트 870곳, 펜션 1만6,464곳, 게스트하우스 2,664곳, 캠핑·글램핑 551곳, 한옥 671곳을 대상을 조사한 결과로 만들어졌다. 사업자등록 기준으로 ‘관광·호텔’으로 등록된 업소는 호텔로, ‘여관·숙박’으로 등록된 곳은 모텔로 분류됐다.

권용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