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현대重, 사우디 국영 선사와 스마트십 공동 개발

정기선(왼쪽) 현대중공업 그룹선박해양영업본부 부문장(전무)과 알리 알하르비 바흐리사 최고경영자(CEO)가 스마트십 사업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에 서명한 후 악수를 하고 있다./사진제공=현대중공업정기선(왼쪽) 현대중공업 그룹선박해양영업본부 부문장(전무)과 알리 알하르비 바흐리사 최고경영자(CEO)가 스마트십 사업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에 서명한 후 악수를 하고 있다./사진제공=현대중공업


현대중공업이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선사인 바흐리사(社)와 스마트십(Smart ship) 공동 개발을 추진한다.

현대중공업은 7일(현지시간) 사우디 현지에서 정기선 그룹선박해양영업본부 부문장(전무)과 알리 알하르비 바흐리 최고경영자(CEO) 등이 참석한 가운데 스마트십 부문 협력관계 구축을 핵심으로 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바흐리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37척 규모의 초대형 유조선(VLCC)을 보유한 사우디 국영 선사다.


현대중공업은 바흐리와 엔진·발전기 등 선박의 기관 상태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선박 정비 시점까지 파악할 수 있다.

관련기사



현대중공업은 2011년 정보통신기술(ICT)과 빅데이터를 활용해 선박 운영의 효율성을 높여주는 스마트십 시스템을 개발한 바 있다. 연비나 배출 가스 등을 고려해 최적의 선박 운항 상태를 유지해주고, 각종 기자재에 대한 유지보수 비용도 줄여주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이 적용된 선박은 300여척에 이른다.

정기선 현대중공업 전무는 “이번 협력관계 구축은 조선과 해운 분야에서 각각 업계를 선도하고 있는 양사가 4차 산업혁명을 함께 준비한다는 의미가 있다”면서 “현대중공업이 보유한 기술력과 바흐리의 선대 운영 노하우를 접목, 제조업과 ICT 기술을 융합한 새로운 시장을 이끌어 가겠다”고 말했다.

한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