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리콜 여부 두고 사상 첫 청문회...현대·기아차 25만대 운명은?

국토부, 강제 리콜 여부 내주 결론 낼 듯

현대차 수용 시 6월 리콜 실시 전망

현대·기아자동차의 차량 결함에 대해 사상 처음으로 리콜 여부를 다투는 청문회가 열린 가운데 청문회 주재자와 정부 당국의 결정에 업계와 소비자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관련 절차가 이번주 중으로 마무리되면 다음주께 강제리콜 여부에 대한 결론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8일 오후 정부 세종청사 국토교통부 회의실. 외부 자동차 전문가인 한병기 홍익대 초빙교수를 가운데 두고 자동차안전연구원 등 국토부 측 10여명과 현대·기아차(000270) 소속 품질·법무팀 직원 8명이 마주 앉았다. 최근 국토부가 현대·기아차의 12개 차종, 5건에 대한 강제리콜(시정명령)을 결정한 데 대해 현대·기아차가 반발하면서 열린 청문회 자리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 3월과 4월 두 차례에 걸친 제작결함 심사평가위원회에서 △제네시스·에쿠스 캐니스터 결함 △모하비 허브 너트 풀림 △아반떼·i30 진공파이프 손상 △쏘렌토·카니발·싼타페·투싼·스포티지 엔진 연료 호스 손상 △LF쏘나타·쏘나타하이브리드·제네시스 주차 브레이크 경고등 불량에 대한 리콜을 결정한 바 있다. 조사대상 차량 40만대 중 수출 물량 15만대를 제외한 25만대가 대상이다.

관련기사



청문회는 예상보다 빠른 2시간 만에 끝났다. 청문회를 주재한 홍 교수가 지난 심평위에서 밝힌 것 이외의 새로운 주장만 하라고 하면서다. 이에 따라 현대·기아차는 일부 결함은 인정하면서도 국토부가 지적한 5건이 안전에 직결된 문제가 아니라는 내부 시험 결과를 제출하며 적극 항변했다. 특히 일부 무상수리를 통해 이 같은 문제점을 충분히 고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평판이나 비용 측면에서 강제리콜은 과하다는 것이다. 올 3월 세타2 엔진을 탑재한 차량 17만대에 대한 리콜을 결정하면서 현대·기아차는 3,600억원의 일회성 비용이 발생했다. 이번에도 리콜에 들어가면 비슷한 규모의 손실이 예상된다.

리콜 여부에 대한 결론은 이르면 다음주에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청문회 주재자가 현대·기아차가 주장한 내용을 담은 청문조서와 함께 5건 각각에 대한 강제리콜의 필요성에 관한 의견서를 국토부에 제출하면 국토부는 이를 검토한 후 강제리콜 여부와 대수 등을 결정한다. 현대·기아차가 이를 수용하면 30일 안에 리콜계획서를 국토부에 제출하고 6월께 리콜이 실시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청문조서와 청문주재자 의견서를 근거로 가급적 조속한 시일에 결론을 내리고 결론에 따라 필요한 처분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 현대차(005380) 측은 안전문제 등에 대한 소명 절차를 거친 만큼 국토부의 결정에 따르겠다는 입장이다.

/조민규기자 세종=강광우기자 cmk25@sedaily.com

조민규·강광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