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투표 후 뒷산에 오른 文..."하나도 홀가분하지 않다"

꽃·나무 보며 산책…대선 언급 없이 기자들과 식물 얘기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선후보와 부인 김정숙 씨가 9일 오전 투표를 마치고 서울 서대문구 홍은동 자택 뒷산을 산책했다 /연합뉴스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선후보와 부인 김정숙 씨가 9일 오전 투표를 마치고 서울 서대문구 홍은동 자택 뒷산을 산책했다 /연합뉴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9일 19대 대선 투표를 마치고 부인 김정숙씨와 산책에 나섰다.


문 후보는 이날 오전 투표 후에 서울 서대문구 홍은동 자택에 잠시 들렀다가 10시 30분께 주황색 등산복을 입고 노란색 등산화를 신은 모습으로 나타났다. 문 후보는 부인 김씨와 자택 뒤편에 위치한 산으로 향했다. 정상에 올라 바위에 걸터앉고는 잠시 상념에 잠긴 듯한 모습을 보였다.

문 후보는 선거와 관련한 말은 아끼고 산 이야기로 말문을 열었다. 문 후보는 “도로 때문에 산길이 끊겼는데 은평구청장이 생태연결 다리를 놔서 여기와 북한산이 이어진다”고 말했다.

문 후보는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가 있을 법한 곳을 가리키면서 “내가 청와대에 갔을 때 순수비가 있었다는 표지석만 남고 순수비는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져 있었는데 당시 유홍준 문화재청장한테 ‘이미테이션을 세우면 어떤가’ 이야기했다”고 전했다.


취재진이 ‘선거운동도 끝나서 홀가분할 것도 같고 맘이 더 무거울 것 같기도 하다’고 말하자 문 후보는 당선되더라도 즉시 국정운영에 나서야 하는 상황을 염두에 둔 듯 “하나도 홀가분 안 합니다”라고 대답했다.

관련기사



문 후보는 내려오는 길에도 대선 언급은 삼간 채 주변의 꽃과 나무에 시선을 두고 이야기했다. 아카시아 나무를 보고는 “정확히 ‘아카시 나무’인데 한동안은 숲을 황폐화한다고 해서 많이 베어내서 요즘은 흔치 않다”며 “요즘 새로 심지는 않지만 베어내지도 않는 것은 양봉도 중요하니 가치를 재발견했다고 할까 그런 거죠”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에 한창 조림할 때 속성수라서 많이 심었다”고도 이야기했다.

문 후보는 ‘당분간 좋아하는 식물 공부하기 어렵겠다’는 지적에 웃음으로 답을 대신하고는 “모르고 봐도 예쁘지만 알고 보면 조금 더 예쁘죠”라고 말했다.

한 나무를 가리키며 이름을 묻고는 ‘조팝나무’란 답이 돌아오자 “이것은 이팝”이라고 답을 바로 잡기도 했다.

문 후보는 “멀리서 보면 부슬부슬한 흰 밥 같다고 ‘이팝’이라고 불렀다”며 “(광주) 5·18 묘역에 들어가는 길 2∼3㎞에 이팝나무 가로수가 있는데 딱 5·18 시기에 만개한다”고 소개했다.

/박신영인턴기자 sypark@sedaily.com

박신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