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 신·구정권 '러 내통 의혹' 플린 검증놓고 또 으르렁

오바마, 트럼프와 직접 만나

"플린, 고위직 임명 안된다" 경고

예이츠 前 법무도 "인선 부적절"

트럼프 거듭된 경고 무시 드러나

美 정가 "백악관 대응 잘못"에

트럼프 "구정권 검증 실패" 역공

마이클 플린 전 미국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블룸버그마이클 플린 전 미국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블룸버그




‘러시아 내통 의혹’으로 낙마한 마이클 플린 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 인선 문제를 놓고 미국의 신구 정권이 또다시 정면 충돌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플린 전 보좌관 임명에 앞서 제기된 경고를 두 차례나 무시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시리아 미사일 공격을 계기로 다소 잠잠해진 트럼프 행정부와 러시아의 유착 여부가 정가의 화두로 재부상하는 분위기다.

8일(현지시간) NBC방송 등 미 언론들은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당선인 시절의 트럼프와 만나 플린 전 보좌관을 고위직에 임명해서는 안 된다는 우려를 직접 전달했다고 복수의 측근 발언을 인용해 보도했다. 오바마 전 대통령은 대선 이틀 뒤인 지난해 11월10일 약 90분간 트럼프 당선인과 독대해 플린의 모스크바 유료강연 문제와 국방정보국(DIA) 국장 시절의 업무능력, 이슬람교에 대한 부적절한 언급 등 여러 이유를 들며 우려를 표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플린 전 보좌관은 오바마 행정부 시절 DIA 국장으로 일했던 인물로 지난해 12월 세르게이 키슬랴크 주미 러시아대사와의 통화에서 대(對)러시아 경제제재 해제 문제를 논의하고도 마이크 펜스 미 부통령에게 거짓으로 보고한 사실이 드러나 보좌관 임명 24일 만인 지난 2월13일 경질됐다.


샐리 예이츠 전 법무장관 대행도 이날 상원 법제사법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플린 전 보좌관이 러시아로부터 협박당할 우려가 있다는 점을 정부 출범 직후인 1월26일 백악관 측에 전달했다”면서 “시급한 우려를 가능한 한 빨리 백악관에 전하기를 원했다”고 말했다. 예이츠 전 대행은 도널드 맥건 백악관 법률고문을 만난 자리에서 플린이 펜스 부통령에게 거짓 보고를 했다는 정보와 함께 이 같은 경고를 전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의 ‘러시아 커넥션’을 가장 잘 파악한 인물로 알려진 예츠 전 대행이 이 사안에 대한 공식 발언을 내놓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는 오바마 전 행정부에서 마지막 법무부 부장관으로 일하다 트럼프 정부 초기 법무장관 대행을 지냈다.

관련기사



오바마 진영의 공세에 백악관은 플린이 지난해까지 오바마 행정부에서 비밀정보취급 재인가를 받았던 점을 들어 검증 책임은 오바마 진영에 있다고 반격했다. 숀 스파이서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최고 비밀취급 인가를 보유한 국방정보국 수장의 배경을 다시 조사할 이유가 있느냐”고 반문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트위터에 “예이츠 전 대행의 백악관 보고 직후 국가 기밀정보가 곧장 언론에 유출된 이유를 그에게 물어봐야 할 것”이라는 글을 올리며 역공을 시도했다.

하지만 미 정가는 국가 안보의 최전선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를 전달받고도 백악관이 빠른 대응에 나서지 않았던 점을 일제히 지적하고 있다. 실제 플린은 예이츠 전 대행의 보고 이후에도 18일간 업무를 정상적으로 수행하다 부통령에 대한 거짓 보고 여부가 언론에 공개된 뒤 경질됐다.

야당인 민주당은 트럼프 행정부와 러시아의 밀착 관계가 플린 전 보좌관을 넘어 더 진행됐을 가능성을 확신하는 분위기다. 현 행정부에서 러시아 유착 의혹을 받은 인물은 트럼프 대통령 외에 그의 아들과 사위,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 윌버 로스 상무장관, 제프 세션스 법무장관 등 행정부 고위직을 망라한다. 민주당 셸던 화이트하우스(로드아일랜드) 상원의원은 청문회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1990년대 중반 이후 러시아와 돈독한 비즈니스 관계를 유지해왔다”며 “대통령 및 행정부 요직 등의 밀착 관계에 또 다른 의문을 던지는 증언”이라고 말했다.

김희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