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산림환경硏, 재선충병 피해 잣나무 친환경 합성목재 개발 성공

전국 최초로 재선충병 피해로 사용되지 못했던 산림자원의 활용방안이 개발됐다.

경기도 산림환경연구소는 국내 최초로 잣나무재선충병 피해목을 활용한 ‘친환경 합성 목재 데크’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현재 전국적으로 확산하고 있는 재선충병은 소나무재선충이 소나무·해송·잣나무에서 단기간 급속하게 증식해 나무를 죽이는 병이다. 이 병은 치사율이 100%에 이르며 재발생률도 높다.

도는 많은 도내 산림농가들이 피해를 막기 위해 감염나무 반경 2km 나무를 모두 제거한 후 훈증작업을 하고 있다.


경기도산림환경연구소는 목재부산물을 이용한 연료용 복합 펠릿의 제조방법에 관한 특허기술을 보유한 경기도의 한 중소기업 A사와 연구진을 구성, 재선충병으로 버려지는 피해목을 이용해 산업화하는 길을 모색하게 됐다.

관련기사



이번에 연구진이 개발한 방법은 A사의 특허기술을 적용한 것으로 피해목을 2cm 이하로 파쇄한 후 이를 다시 100∼200mesh의 미세분말로 분쇄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화학적 훈증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자칫 목재에 남아 있을 수 있는 재선충병을 제거할 수 있다.

연구진은 이렇게 가공된 잣나무 재선충병 피해목을 잣 구과피나 외종피 등 잣 부산물과 폴리에틸렌(PE)을 혼합함으로써 친환경 합성목재를 개발, 제조공정을 확립시키는 데까지 이르렀다. 또 이 친환경 합성목재를 활용한 ‘데크’ 제품을 만드는 것 역시 성공했다.

재선충병 피해목을 활용해 만든 친환경 합성목재 제품은 이번이 국내 최초다. 이 제품은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니스나 오일스테인 등의 도색을 전혀 하지 않아도 목재 고유의 색을 발현하는 것이 특징이다.

김종학 경기도 산림환경연구소장은 “이번 신기술 개발로 그동안 단순 연료재 등으로 활용하기만 했던 재선충병 피해 잣나무의 새로운 산업화의 길이 열렸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