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스마트공장 확산 위해서 테스트베드 구축해야”

부산발전연구원 학연연구 보고서

기계부품 제조공정 디지털화에 따른 인력 양성 시스템도 필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부산지역에 스마트공장을 확산하기 위해서는 테스트베드 구축이 가장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부산발전연구원은 11일 ‘4차 산업혁명 시대, 스마트팩토리 기반 부산지역 제조업 혁신방안’ 학연연구 보고서를 내고 부산지역 스마트팩토리 확산을 위한 과제를 제시했다. 스마트팩토리는 ICT와 제조업의 융합을 통해 생산기기와 생산품 간 네트워크 연결체계를 구축해 생산 공정을 최적화·효율화하고 산업 공정의 유연성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고서는 스마트팩토리의 기대효과에 대해 “소비자 고유 선호도를 제품주문 및 생산계획 단계에 반영하고 선호도 변화에 따라 제조방식 및 디자인을 실시간 변경할 수 있는 소비자 맞춤형 대량생산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고객 주문이 생산공정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 시뮬레이션해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제조업의 서비스화를 통해 경쟁력을 제고하며, 도심형 공장과 재택근무 활성화로 일과 가정의 양립을 확산시킬 수 있을 것”이라 덧붙였다.

관련기사



보고서를 작성한 진태석 동서대 메카트로닉스공학 교수는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스마트공장 확산과 더불어 지속가능한 정책 추진을 위해서는 중소기업이 벤치마킹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 구축이 선결과제”라며 “부산지역 기계부품 제조공정 디지털화에 따른 근무환경 변화로 새로 요구되는 인력 교육 및 육성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진 교수는 특히 “ICT 융합 스마트공장에 필요한 기계·자동차 부품설계 분야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해 공급함으로써 기술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산의 기계부품 제조기술의 강점을 활용하면 ICT 기반 스마트 가공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ICT 융합기술의 시장 선점이 가능하다고 진 교수는 보고 있다. 진 교수는 정부에 대해 “제조업의 여러 부문뿐 아니라 ICT, 과학기술, 창업·벤처 등 다양한 분야를 고려한 통합적 정책이 요구된다”며“이를 위해 업종 간, 부처 간 이해관계를 조정해 제조업 전반의 혁신을 이끌어낼 수 있는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