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민 19% "부모의 노후 생계, 스스로 책임져야"

10년 전보다 2.5배 늘어

"가족이 책임져야" 30%

부모의 노후 생계는 스스로 책임져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미지투데이부모의 노후 생계는 스스로 책임져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미지투데이


부모의 노후 생계는 스스로 책임져야 한다고 보는 시민이 10년 전에 비해 크게 늘어난 것으로 조사결과 드러났다.

15일 서울연구원 인포그래픽스에 따르면 ‘부모의 노후 생계 책임’을 묻는 말에 서울시민의 19.2%는 “스스로 해결”이라고 응답했다. 2006년 7.7%보다 약 2.49배나 껑충 뛴 수치다.

지난해 기준 가장 많은 45.6%는 가족, 정부, 사회가 공동으로 책임을 져야 한다고 했다. 29.6%는 가족이라고 답했고, 5.6%는 정부와 사회 책임이라고 답했다.


반면 2006년에는 가장 많은 60.7%가 가족이라고 응답했다. 또 29.1%는 가족·정부·사회의 공동 책임이라고 답했고, 2.4%만이 정부와 사회 책임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부모에게 생활비를 제공하는 이가 누구인지를 묻는 질문에서도 이러한 변화 추세가 나타났다. 부모 스스로 생활비를 해결한다는 응답은 2006년 47.8%에서 작년 58.4%로 늘었다.

그러나 ‘모든 자녀’는 24%에서 22.6%로, ‘장남 또는 맏며느리’는 10.9%에서 8.3%로, ‘아들 또는 며느리’는 13.9%에서 7.7%로 각각 줄었다. ‘딸 또는 사위’만 2.7%에서 3%로 소폭으로 늘었다.

이 통계는 서울시 가구주·배우자를 대상으로 2006년 8천792명, 지난해 3천855명을 각각 조사해 작성됐다.

/김민제 인턴기자 summerbreeze@sedaily.com

김민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