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찰, 범죄피해자 트라우마 척도 개발…후유증 예방

트라우마 정밀 검사…맞춤형 보호활동 진행

경찰청이 범죄 피해자의 트라우마 증상을 즉각 측정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매뉴얼을 마련했다./경찰청경찰청이 범죄 피해자의 트라우마 증상을 즉각 측정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매뉴얼을 마련했다./경찰청


범죄 피해자의 트라우마(PTSD·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을 정밀 측정할 수 있는 매뉴얼이 마련됐다. 경찰은 피해자의 트라우마 정도에 따라 맞춤형 보호활동을 진행할 예정이다.

16일 경찰청은 범죄 발생 초기 피해자의 트라우마 증상을 측정할 수 있는 트라우마 척도(VTS)를 국내 최초로 개발해 전국 경찰서에 배포했다고 밝혔다. 피해자를 가장 먼저 만나는 경찰관이 심리전문가가 아니라도 피해자 심리 상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해 지원한다는 취지다.


경찰청은 피해자심리전문요원으로 자체 개발팀을 구성해 VTS를 제작했다. 23개 문항의 자기보고식 검사지로 급성 스트레스장애(ASD) 증상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각 경찰서의 피해자전담경찰관은 피해자를 상담할 때 VTS 검사를 실시하게 된다. 일정 점수 이상이 나오면 지방경찰청 피해자심리전문요원·심리전문기관과 연계한다.

관련기사



경찰 관계자는 “심리 전문가가 아닌 경찰관도 현장에서 범죄 피해자의 심리적 위기상태를 확인하고 개입해 범죄 후유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며 “피해자 스스로 증상을 체크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도 개발할 계획”이라 말했다.

/조은지 인턴기자 ejee@sedaily.com

조은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