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미세먼지의 공습…뱃살부터 빼라

서울대병원 교수팀 연구결과

복부비만이 폐기능 저하 불러

미세먼지가 가득한 도시/연합뉴스미세먼지가 가득한 도시/연합뉴스


복부비만이 미세먼지로 인한 폐 기능 저하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김현진·박진호·조비룡·김종일 교수팀은 2009년부터 2014년까지 서울대병원 건강검진센터를 찾은 남성 1,876명을 대상으로 거주지의 미세먼지 농도와 복부지방·폐활량 등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16일 밝혔다.


연구진에 따르면 평균 허리둘레 98㎝로 복부비만을 가진 그룹(190명)의 경우 미세먼지 농도가 약 10㎍/㎥ 증가할 때마다 폐활량 지수가 10%씩 감소했다. 반면 평균 허리둘레 87㎝로 복부비만이 미미하거나 아예 없는 그룹(1,686명)은 동일한 미세먼지 농도 노출에서 통계적으로 폐 기능 저하가 관찰되지 않았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관련기사



김현진 교수는 “지방세포는 몸에 염증을 유발하는 물질(인터루킨-6)을 분비하고, 대기오염은 기도 등 호흡기에 해로우므로 이 둘이 합쳐지면 더 심각한 폐 기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박진호 교수는 “복부비만이 있는 사람은 그 자체만으로도 보통인 사람보다 각종 호흡기질환과 심뇌혈관 질환이 더 잘 걸릴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평소 이런 문제점을 인지하고 미세먼지 노출을 최소화하는 생활습관과 복부지방 감량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비만학회지’(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최근호에서 찾을 수 있다.

/김민제 인턴기자 summerbreeze@sedaily.com

김민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